盧, 파병동의안 "지체없이 추진"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국회조사단과 조찬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힌 후 "정치권과의 협의를 위해 4당 대표를 서둘러 만날 것"이라며 이에 대해 유인태 정무수석에게 지시했다고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전했다.
또 노 대통령은 "북핵문제 등 한반도 안보에 중요한 현안이 있고 이를 풀어가야 할 입장에 있는 우리로서는 어느 때보다 돈독한 한미관계가 중요하다"며 "지금이야말로 미국의 협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국회 조사단 단장인 한나라당 강창희 의원은 이라크 현지 일정을 소개한 후, "한미동맹을 감안할 때도 그렇고 또 현지를 직접 가보니까 현지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을 직접 보면서 도와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한.아랍권 관계를 위해서도 파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강 단장은 "일단 파병이 결정되었으므로 소모적인 찬반논쟁을 끝내고 서둘러 동의안을 제출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거듭 밝혔다.
민주당 한충수 의원은 "파병시에 군비문제가 걱정되는 만큼 계획을 잘 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으며 자민련 정진석 의원은 "대통령이 고심 끝에 결정한 사안인데 찬반을 놓고 극단적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면서 "자민련은 파병안에 전적으로 찬성입장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조사단 귀국 직후 전투병 파병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던 열린우리당 송영길 의원은 "어떤 방식으로 어느 지역에 파병할 것인가의 선택을 신중히 해야 한다"면서 "평화재건부대의 이미지를 분명히 하고 국제적 명분과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신중론을 폈다.
유정렬 중동.아프리카 연구원장 이사장은 "대 중동 정상외교가 필요하다"면서 "적당한 시기에 중동국가를 방문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날 노 대통령은 "파병부대의 안전을 최대한 담보할 수 있도록 국방부에서 계획을 잘 세울 것"이라며 국회의 협력을 당부했다.
이번 이라크 현지 한국인 피격 사건으로 국내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한 철회 여론이 뜨겁다. 또한 자위대 파병을 예정하고 있는 일본 정부도 주춤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 대통령의 이같은 강행 입장은 국민들의 반대 여론을 더욱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사건으로 국방부 등 정부 일각에서는 오히려 전투병 파병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분위기 속에 이번 파병부대의 성격이 전투병 위주로 편성되고 파병 시기는 늦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으나, 오늘 노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으로 조기 파병의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