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장관, "6자회담 호전될 가능성 있다"

"동맹국 미국, 북핵 진전 협조가 도리"

2003-12-04     송정미 기자
정세현 통일부장관은 4일 2차 북핵 6자회담과 관련 "12월 개최가 어렵게 됐다고 예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며 여전히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음을 시사했다.

정 장관은 4일 오전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12월 세번째 주에 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의견 접근이 있었는데, 미국과 북한의 요구가 있어 접점이 생길 뻔하다 다시 흐트러지는 상황"이라며 최종적인 조율을 위해 이수혁 외교통상부 차관보와 위성락 북미국장이 한미일 비공식 대북정책협의회에 참석차 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외신들에 따르면 3일 북한의 핵폐기와 미국의 안전보장을 `동시행동` 방식으로 제안한 중국측의 2차 6자회담 공동성명안을 한미일이 거부함으로써 개최 일정이 불투명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측이 북핵 사찰과 감시방법에 대한 합의를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 장관은 12월 9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방미 시에도 "아무래도 미.중간에 6자회담에 대해 어떤 형식으로든 얘기 안할 수 없을 것"이라며 "그 결과를 가지고 북한에 가서 다시 얘기할 것이기에 상황이 얼마든지 호전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과정이 시간적으로 연내 개최가 가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정 장관은 "소풍가려고 준비를 다 해놓고 비가 와서 못 가고 있"는 상황과 같다며 연내 개최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정 장관은 이라크 파병과 북핵 문제의 연계성에 대해 "경직되게 연결시키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많다"면서 "한미공조를 통해 풀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의 입장은 북한도 너무 대미 요구를 강하게 내세워도 안되지만, 미국도 북한의 요구에 대해 조금은 완화된 자세로 해서 어떻게든 회담의 모멘텀을 유지하고 빠른 시일안에 해결의 실마리를 가져보자는 것"이라며 "우리도 한미관계에 할 도리를 다 할테니 미국도 동맹국인 우리 국민이 불안해하니 존중하는 차원에서 (핵문제에) 진전되는데 협조해주었으면 좋겠다는 입장"이라면서 "이것은 도리"라고 강조했다.

6자회담에 있어 북한이 갖는 불만에 대해 "북은 핵폐기 의사를 할테니 체제 안전 보장과 경제적 지원의 보장과 전망을 달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며 이는 회담에 임하기 직전에 회담 전술 차원에서, 몸값을 올리기 위한 버티기를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세현 장관은 개성공단 초대 이사장 내정과 관련, 이는 "합의라기 보다는 양해각서, 또는 메모렌덤(비망록) 정도의 수준으로 본다"며 하지만 공동개발업자의 책임 등도 생각해서 얘기해야 한다고 말한 후, "2천만평 개발권은 현대아산이 가진 것은 사실이지만 앞으로 전체인원에 대해 독점적 권리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경수로 건설 중단상황과 관련, "현장의 상황은 평온하고 우리 인원들이 불편없이 활동하고 있다"며 공사재개 문제와 관련한 논의에 대해선 "6자회담 진행과정에서 북한의 여러가지 경제적 지원을 어떻게 풀 것 인지의 문제와 관련된 만큼 큰 틀에서 얘기되어야 한다"고 전망했다.

정 장관은 앞서 남북간 철도.도로연결 실무접촉에서 남북 대표단이 전날 속초항을 참관한 이유에 대해 "북측 요구에 따른 것으로 북측 대표단은 추후 동해선 연결시 속초항의 물동량을 알고 싶어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