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동북아 3국 표기 ‘한중일’로 통일

2025-11-17     이광길 기자
지난 1일 경주에서 정상회담과 만찬 등을 함께 하며 윤석열정부 때 망가진 한중관계를 복원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사진-대통령실]

이재명 정부가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했다. 대일 편향이 지나쳤던 윤석열 정부 때 ‘한일중’ 표현을 관행에 맞춰 바로잡은 셈이다.

대통령실은 17일 ‘알림’을 통해 “정부는 국제회의체에서 관련국간 별도로 합의된 룰이 없는 경우 관행과 언어적 편의 등을 고려해 국가명 표기 순서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한중일'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불필요한 혼선이나 해석의 논란을 방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단, 한중일 정상회의의 경우 그간 3국간 합의에 의해 3국간 공동문서 등에 회의 공식 명칭을 표기할 때 국명을 의장국 순(한일중)으로 표기해오고 있다”고 알렸다.

지난 2023년 6월 공개한 「윤석열 정부의 국가안보전략」은 “동북아 번영과 평화를 위한 한·일·중 3국 간 대화와 협력을 모색한다”면서 “한·일·중은 전세계 GDP의 25%(2021년 약 24.5조 달러)와 인구의 20%(2021년 약 15.9억명)를 차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번영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고 표기했다. 

나아가 2023년 9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한 당시 대통령 윤석열이 ‘한일중’이라는 표현을 공식 사용했다.

이에 대해, 당시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6월에 발간된 국가안보전략 지침서에 모든 순서가 일본 다음에 중국으로 바뀌어서 프린트해서 배포해 드렸다”고 확인했다.

그는 “이 정부 들어서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해서 미국, 일본과 보다 긴밀한 기술, 정보, 안보협력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북미 회담보다도 미북 관계로 부르고 있고 한중일 보다도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의 ‘한중일’ 표기 방침에 대해, 중국 측은 반색했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16일 오후 [연합뉴스] 기사를 인용해 “한국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면서 나온 조치로서 중국에 대한 선의의 제스처”이고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를 반영한 조치”라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