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사망에 조의문 (추가)
정부는 김영남 북한 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부고를 접하고 4일 정동영 통일부장관 명의로 조의문을 발표했다.
정 장관은 김영남 전 위원장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북측 대표단을 이끌고 방남하여 남북대화의 물꼬를 트는 데 기여"했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북측 관계자 여러분께도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애도의 뜻을 표했다.
지난 2005년 6월 평양에서 열린 6.15통일대축전 행사, 2018년 9월 평양정상회담에서 두 차례에 걸쳐 김 전 위원장을 만나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를 위해 의미있는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이 난다는 개인적 소회도 남겼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경우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북측 고위급대표단 대표로 방남해 남북관계에 직접 관여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조의문을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남북 통신선이 중단된 상황에서 북측에 조의문을 발송할 수 없는 것은 아쉬움 점"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가 북측 인사 사망시 조의문을 발표한 건 2005년 10월 20일 연형묵 총리 사망 당시 장관급회담에 참석한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남측 수석대표 명의로 북측 수석대표인 권호웅 내각참사에게 이틀 후 전통문으로 조의를 표명한 것이 최초 사례이다.
2006년 8월 21일 림동옥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장 사망시 당시 이종석 통일부장관이 남북장관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명의로 북측 수석대표인 권호웅 내각참사 앞으로 전통문을 보냈고, 2015년 12월 29일 김양건 당 비서 겸 통일전선부장 사망시 당시 홍용표 통일부장관이 북측 통일전선부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조의를 표했다.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시에는 당시 류우익 통일부장관이 정부담화문을 발표해 "정부는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과 관련하여 북한 주민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는 조의를 표시했다.
한편, 이날 오후 이해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도 김 전 상임위원장의 별세에 즈음한 조의 메시지를 발표했다.
이 수석부의장은 지난 2005년 국무총리 시절,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반둥회의 50주년 기념회의'에서 김 전 상임위원장을 만나 일본에 있는 우리 문화재 반환을 위해 남북이 협력하기로 하고, 노무현재단 이사장으로서 방북때마다 만나 평화통일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았던 인연을 회고하며 고인의 영면을 빌었다.
이어 "김 상임위원장님은 먼 길을 떠나셨지만, 머지 않아 남북이 대화 테이블 앞에 마주앉아 평화통일을 이야기하는 날이 오리라 기대한다"는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