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양안 문제,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 반대’
한미일 외교장관, 중국·북한 겨냥 공동성명(전문)
한미일 외교장관은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계기에 뉴욕에 모여 22일(현지 시간) 회의를 갖고 주로 중국과 북한을 겨냥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외교부는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뉴욕을 방문중인 조현 장관은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 및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대신과 22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갖고, 한반도 및 지역 현안과 한미일 3국 간 경제안보 협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원활한 인적교류 보장과 조지아 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 새로운 비자 제도 도입 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미측의 각별한 조치를 당부했고, 루비오 장관은 우호적 동맹관계 등을 고려하여 조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3국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에서 “미합중국은 대한민국과 일본에 대한 확장억제 공약이 한반도와 더 넓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안정에 매우 중요함을 재확인하였다”면서 “장관들은 3자 다영역 훈련 ‘프리덤 에지’의 정기적 시행을 포함하여 강력한 안보협력 증진을 통해 방위 및 억제를 제고하고, 각자의 방위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였다”고 밝혔다. 3국의 안보 범위에 한반도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을 공식 포함시킨 것이다.
나아가 “장관들은 남중국해에서 불법적 해양 주장과 그러한 주장을 강화하려는 시도에 강력히 반대하였다”며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수역에서 위험하고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를 포함하여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하였다”고 사실상 중국을 ‘현상 변경 세력’으로 못박았다.
3국 외교장관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유지하고, 항행·상공비행의 자유와 여타 합법적인 해양 이용을 포함하여 유엔해양법협약에 반영된 국제법을 수호해야 한다는 약속을 강조하였다”면서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만 인근에서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가 점점 빈번해지고 있음에 우려를 표명하였다”고 구체적으로 ‘대만 해협’을 특정하기도 했다.
또한 “양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독려하였으며, 일방적으로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하였다”면서 “대만의 적절한 국제기구에의 의미있는 참여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고 명기했다.
대만 해협 안정 문제에 더해 중국의 대만 흡수를 우려하면서 대만을 ‘국제기구’에 참여시키겠다는 것은 그간 국제사회의 합의인 ‘하나의 중국’ 원칙을 사실상 뒤집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중국의 대응이 주목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23일 오후 기자들의 질문에 “중국 측의 항의는 없었다”고 확인했다.
3국 외교장관은 북한에 대해서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였다”고 전제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회피에 단호히 대응함으로써 대북 제재 레짐을 유지·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로 표기된 대목은 외교부 보도자료에는 “한반도 비핵화 원칙과 대북 억제 태세를 견지하는 가운데 대북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한반도 비핵화’로 표기돼 차이를 보였다.
그간 외교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비핵화’를 혼용한 적이 있지만 6자회담 결과를 담은 9.19공동성명(2005년) 등 공식 문건에는 ‘한반도 비핵화’로 명기했고, 유엔 안보리 결의 등 북한을 제재대상으로 놓은 경우 ‘북한 비핵화’로 표기하기도 했다.
남한에 핵무기가 없는 상황에서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 비핵화와 같다는 인식도 깔려있지만 양자는 엄연히 비핵화의 범주가 다른 것으로, 한반도 비핵화의 경우 미국의 전략자산을 한반도 인근에서 전개하거나 운용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2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반대하는 각양각태의 쌍무 및 다무적전쟁연습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시공간적공백이 없이 이어지고 거기에 더욱더 많은 핵요소들이 포함되고있는것이 우리가 직면한 현실”이라며 “단언하건대 우리에게서 《비핵화》라는것은 절대로, 절대로 있을수 없다”고 확언했다.
공동성명은 “특히 장거리 미사일 등 북한의 군사역량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의 영향을 포함하여, 북한의 러시아와의 증가하는 군사협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다”며 “그들은 러시아와 북한이 이러한 모든 활동을 즉시 중단하고 유엔 헌장 및 모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장관들은 북한의 사이버 행위자와 IT 인력에 의한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다”며 “최근 「북한 IT 인력에 대한 공동성명」에 강조된 바와 같이 민관 협력을 심화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고 전했다.
공동성명은 “장관들은 3국 간 긴밀한 대북 정책 공조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북한 관련 3국 간 각급에서의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면서 “장관들은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및 이산가족 문제를 즉각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재강조하였다”고 밝혔다. 일본은 ‘납북자’ 문제를 항상 최상위 대북 의제로 삼아왔다.
외교부는 “3국 장관들은 퀀텀, 원자력, AI, 공급망 등 분야별 실질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하면서, 행동지향적이고 가시적 성과를 계속 거양해 나갈 수 있도록 한미일 사무국을 적극 활용하고, 장관 차원에서 이를 지속 점검해나가기로 하였다”고 전했다.
September 22, 2025
Joint Statement from the Trilateral Meeting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New York City
The text of the following statement was released by the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Begin Text
Secretary of Stat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Marco Rubio, Foreign Minister of Japan Iwaya Takeshi, and Foreign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 Cho Hyun met on September 22 in New York City to continue their joint efforts to advance the safety, security, and prosperity of our three countries and the broader Indo-Pacific region, while upholding shared principles including the rule of law.
Strengthening Regional and Global Engagement
The United States reiterated its ironclad commitments to the defense of Japan and the ROK, backed by America’s unmatched military strength, including its nuclear capabilities. The United States reaffirmed its extended deterrence commitments to Japan and the ROK, which are critically important to the security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roader Indo- Pacific region.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reaffirmed their resolve to bolster defense and deterrence by advancing robust security cooperation, including through the regular conduct of the trilateral multi-domain exercise “Freedom Edge,” and to strengthen their respective defense capabilities.
They welcomed trilateral coast guard cooperation, including the exchang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experience to enhance maritime incident response between the three countries and the provision of capacity building support to ASEAN member states in May 2025. They committed to work under the Trilateral Maritime Security and Law Enforcement Cooperation Framework to address the multifaceted challenges in the maritime domain and provide joint capacity building assistance to partners in the region.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strongly opposed unlawful maritime claims in the South China Sea, as well as attempts to enforce such claims. They opposed any attempts to change the status quo including dangerous and destabilizing actions in the waters of the Indo-Pacific, including the South China Sea. They emphasized their commitment to maintaining a free and open Indo-Pacific and upholding international law as reflected in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cluding freedoms of navigation and overflight and other lawful uses of the sea.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across the Taiwan Strait and expressed concern about increasingly frequent destabilizing actions around Taiwan.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encouraged the peaceful resolution of cross-Strait issues and opposed any attempts to unilaterally change the status quo. They also expressed support for Taiwan’s meaningful participation in appropri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y reaffirmed their unwavering support for ASEAN centrality and unity and for the ASEAN-led regional architecture.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recognize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Arctic region and committed to further their trilateral cooperation through close intergovernmental communication in this regard.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encouraged Russia and Ukraine’s progress towards a durable negotiated settlement.
Addressing the North Korean Threat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reaffirmed their resolute commitment to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UNSCRs), while continuing to make efforts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ialogue and diplomacy. They emphasized the need to address together the DPRK’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and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sanctions regime against the DPRK by responding firmly and in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to violations and evasions of the relevant UNSCRs. They urged all UN Member States to abide by their international obligations under the relevant UNSCRs.
They expressed serious concerns over the DPRK’s increasing military cooperation with Russia, including the implications of Russian support to the DPRK’s military capabilities, particularly its long-range missiles. They urged Russia and North Korea to immediately cease all such activities and abide by the UN Charter and all relevant UNSCRs.
They expressed their serious concern with malicious cyber activities by North Korean cyber actors and IT workers. They welcomed the coordinated actions of the three countries and emphasized the need to deepen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as highlighted in the recent Joint Statement on North Korean IT Workers. The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ed efforts of the Trilateral Diplomatic Working Group on North Korean Cyber Threats.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close policy coordination on North Korea between the three countries and committed to strengthen trilateral consultations on North Korea at all levels.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also reiterated their commitment to the immediate resolution of the issues of abductees, detainees, and unrepatriated prisoners of war as well as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Enhancing Economic Security and Resilience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committed to advance trilateral cooperation on supply chain resilience, digital infrastructure, artificial intelligence, quantum, biotechnology, and other emerging technologies.
They asserted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energy security, underpinned by America’s liquid natural gas and other energy sources and technologies. For the sake of further diversifying critical mineral and other vital supply chains, they committed to enhance trilateral dialogue on critical minerals and work together in various regions such as Southeast Asia and Sub-Saharan Africa through further promoting active collaboration under the trilateral Early Warning System. In addition, they concurred in continuing their dialogue on economic security. To meet growing energy needs under the highest standards of nuclear safety, security, and nonproliferation,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committed to accelerate joint efforts to develop and deploy advanced civil nuclear reactors.
They welcomed the advancement of tangible cooperation on developing and protecting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including the Trilateral Workshops on Quantum Industrial Security in September and the second Trilateral Technology Leaders Training Program in June. They also expressed their support to maintain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the national laboratories of the three countries.
They welcomed the Young Trilateral Leaders program as a contributor to strengthened people-to-people ties and enhanced trilateral cooperation. Standing firmly against economic coercion and non-market policies and practices, including export restrictions that could lead to significant supply chain disruptions, they reaffirmed their commitment to a free and fair global economic order. They also expressed their support for the ROK’s successful APEC 2025 host year and for meaningful outcomes at the APEC Economic Leader’s Week later this fall.
Advancing Trilateral Cooperation
The Secretary and Foreign Ministers welcomed the active role of the Trilateral Coordinating Secretariat responsible for aligning the action-oriented objectives and coordinating and implementing tangible efforts. They committed to continue trilateral meetings at all levels.
End Text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공동성명 [비공식 번역본]
조현 대한민국 외교장관, 마르코 루비오 미합중국 국무장관, 그리고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은 법치를 포함한 공동의 원칙을 지지하면서 3국과 더 넓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전, 안보, 번영을 증진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지속하기 위해 9월 22일 뉴욕에서 만났다.
지역 및 글로벌 관여 강화
미합중국은 핵 역량을 포함하여 필적할 수 없는 미합중국의 군사력으로 뒷받침되는 대한민국과 일본에 대한 철통같은 방위 공약을 재강조하였다. 미합중국은 대한민국과 일본에 대한 확장억제 공약이 한반도와 더 넓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안정에 매우 중요함을 재확인하였다. 장관들은 3자 다영역 훈련 ‘프리덤 에지’의 정기적 시행을 포함하여 강력한 안보협력 증진을 통해 방위 및 억제를 제고하고, 각자의 방위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장관들은 해양 사고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3국 간 전문 지식·경험 교환과 2025년 5월의 아세안 회원국 대상 역량 강화 지원 제공을 포함하는 3국 간 해양경비대 협력을 환영하였다. 그들은 「3국 해양안보 및 법집행 협력 프레임워크」하에서 해양 영역 내 다면적인 도전에 대응하고 역내 파트너국들에게 공동 역량강화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장관들은 남중국해에서 불법적 해양 주장과 그러한 주장을 강화하려는 시도에 강력히 반대하였다. 그들은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수역에서 위험하고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를 포함하여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하였다. 그들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유지하고, 항행·상공비행의 자유와 여타 합법적인 해양 이용을 포함하여 유엔해양법협약에 반영된 국제법을 수호해야 한다는 약속을 강조하였다.
장관들은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만 인근에서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가 점점 빈번해지고 있음에 우려를 표명하였다. 장관들은 양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독려하였으며, 일방적으로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하였다. 그들은 또한 대만의 적절한 국제기구에의 의미있는 참여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그들은 아세안 중심성·단합과 아세안이 주도하는 지역 구조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를 재확인하였다. 장관들은 북극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간 긴밀한 소통을 통해 3국 간 북극 관련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장관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지속 가능한 협상에 의한 타결을 향한 진전을 이루도록 독려하였다.
북한 위협 대응
장관들은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가는 가운데,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그들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함께 대응할 필요성과, 다른 국가들과 협력하에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회피에 단호히 대응함으로써 대북 제재 레짐을 유지·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모든 유엔 회원국이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국제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하였다.
장관들은 특히 장거리 미사일 등 북한의 군사역량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의 영향을 포함하여, 북한의 러시아와의 증가하는 군사협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그들은 러시아와 북한이 이러한 모든 활동을 즉시 중단하고 유엔 헌장 및 모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하였다.
장관들은 북한의 사이버 행위자와 IT 인력에 의한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그들은 3국 간 공조를 환영하고 최근「북한 IT 인력에 대한 공동성명」에 강조된 바와 같이 민관 협력을 심화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북한 사이버 위협에 대한 한미일 외교당국 간 실무그룹의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장관들은 3국 간 긴밀한 대북 정책 공조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북한 관련 3국 간 각급에서의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장관들은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및 이산가족 문제를 즉각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재강조하였다.
경제 안보 및 회복력 강화
장관들은 공급망 회복력, 디지털 인프라, 인공지능, 양자, 생명공학 및 여타 신흥기술 관련 3국 협력을 진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그들은 미국의 LNG와 여타 에너지 자원 및 기술에 기반한 에너지 안보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핵심광물과 여타 필수 공급망을 더욱 다변화하기 위해 핵심광물 관련 3국 간 대화를 강화하고, 3국 간 조기경보시스템하에서의 활발한 협업을 더욱 촉진함으로써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함께 협력해나기로 하였다. 아울러, 그들은 경제 안보 관련 대화를 지속하기로 뜻을 같이 하였다. 장관들은 가장 높은 수준의 원자력안전·핵안보·비확산 기준하에서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선진 민간 원자로 개발 및 배치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가속화하기로 하였다.
장관들은 6월에 개최된 제2차 한미일 기술 리더 연수 프로그램과 9월에 개최된 한미일 퀀텀 산업 보안 워크숍을 포함하여 핵심신흥기술의 개발·보호와 관련한 가시적인 협력에서 진전이 있었음을 환영하였다. 그들은 또한 3국 국립연구소 간 연구 협력을 지속하는 데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장관들은 인적 교류 강화 및 3국 협력 증진에 기여하는 3국 청년 리더 프로그램을 환영하였다. 그들은 중대한 공급망 교란을 초래할 수 있는 수출제한 조치를 포함하여, 경제적 강압과 비시장 정책과 관행에 단호히 반대하면서, 자유롭고 공정한 국제경제질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였다. 그들은 또한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2025년 APEC 의장국 수임과 올 가을 APEC 정상회의주간에서의 의미있는 성과 도출을 위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한미일 협력 강화
장관들은 행동지향적 목표를 조율하고 가시적 노력을 조정·이행하는 데 있어 한미일 사무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환영하였다. 그들은 각급에서의 3국 회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