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정은 연설’ 관련 “북미대화 지원할 것”
정부가 22일 “북미 대화 지원 등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연설’ 관련 입장 자료를 통해 “정부는 북측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재확인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22일자 [노동신문]에 따르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서지 못할 리유가 없다”면서 “나는 아직도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우리는 한국과 마주앉을 일이 없으며 그 무엇도 함께 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긴 안목을 갖고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통해 남북 간 적대성 해소와 평화적 관계 발전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미-남북관계 선순환을 기대하는 이재명정부의 입장을 거듭 확인한 셈이다.
22일 오전 브리핑에서,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 최고인민회의가, 다른 무엇보다도 지금 김정은 위원장이 대미·대남 연설을 했던 부분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했으나, 세부적인 평가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그는 “두 국가론을 제안하고 나서 조금씩, 조금씩 새로운 워딩이 나오고 있”으나 “이게 새롭게 더 이상 더 강경해졌다는 평가를 하지는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북한이 지금 헌법 개정을 통해서 두 국가를 확정했는지에 대해서 북한이 스스로 확인한 바가 없다”며 “오늘 연설에도 아직까지 확정된 것이 아니라는 분위기가 읽혀졌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