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비서실장은 왜 방미했고 누굴 만났을까?
“지난 통상 협상 이후 저희가 양국 대통령 회담을 준비하면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문제 논의를 하기 위한 핫라인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 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신뢰를 받고 있는 수지 와일스(Susie Wiles) 백악관 비서실장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2주 전부터 추진하게 되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25일 오후(아래 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과 함께 개최한 ‘한미정상회담 결과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알렸다.
그는 “지난 10일 고위 당·정·대 협의에서 저는 ‘이번 한미 통상협상 과정에서 미 정부 핵심 정책 결정권자와 논의되는 긴밀한 소통협력채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발언한 바 있다”면서 “그때 이미 양국 비서실장 간 회담은 추진중이었다”고 토로했다.
“최초부터 만남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비공개 원칙을 미국측에서 주문했고 제가 일정, 안건, 시간에 대해서 여러 가지 불확실한 것은 있었다”며 “일주일 전 마지막으로 수지 와일스 비서실장과 면담 일정을 확정하였다”고 알렸다.
비공개 조율을 거쳐 “오늘 오전 10시30분부터 40분간 백악관에서 비서실장들이 같이 만나게 됐다”면서 “아시다시피 9시20분에 트루스소셜에 올라온 글 때문에 저희가 다들 당황했고 면담은 그로부터 1시간 뒤에 저희들의 면담은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면담에서 우선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소셜 메시지와 관련해서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말씀드렸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를 다시 보고해달라’고 말씀드렸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경제통상, 외교안보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협상 전반에 대해서도 양국의 비서실장은 심도있게 논의하였으며 협상 타결의 동력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서로 간의 협조를 요청했다. 동시에 서로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폭넓게 얘기했다”고 알렸다.
강 비서실장에 따르면, 이에 대해 미측은 ‘자신으로서도 전적으로 협력하고 구체적인 진전을 기대한다’고 답변하였으며 추후에 비서실장 간의 채널을 통해서 계속 소통해나가기로 하였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는 글을 올렸던 트럼프 대통령이 “오해라고 확신한다”고 물러서기까지 이재명 대통령만이 아니라 장막 뒤에서 진행된 양측 비서실장들의 노력도 작용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