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독립유공자들의 고귀한 희생에 경의”

SNS 메시지 통해선 “위안부 피해자 존엄 회복에 총력”

2025-08-14     이광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조국 독립에 일생을 바치신 독립유공자들의 고귀한 희생에 국민을 대표하여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한 「광복 80주년 대통령의 초대-당신이 있어 대한민국입니다」 오찬에서 “광복 80주년 이 뜻깊은 날에 함께해 주신 독립유공자 후손과 보훈 가족 여러분, 진심으로 축하드리고 환영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선열들을 기리고, 유공자들의 명예를 지키는 일은 자유와 번영을 누리며 살아가는 오늘 우리들의 큰 책임”이라고 했다.

“해외에서 유해가 봉환되어 어제 국립묘지에 안장되신 문양목, 임창모, 김재은, 김덕윤, 김기주, 한응규 선생의 후손들이 지금 이 자리에 함께하고 계신다”며 “늦었지만 그토록 염원하셨던 조국에서 편히 영면하시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보훈 선진국으로 대한민국이 도약할 수 있게 하겠다”면서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한다’라는 이런 말은 앞으로 더이상 통용될 수 없도록 국가를 위한 희생에는 예우도 높게, 지원은 두텁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생존해 계신 애국지사님들이 남은 여생을 불편함 없이 보내실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 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립투쟁의 역사와 정신을 우리 미래 세대들이 계승하고, 또 기억할 수 있도록 선양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오찬에는 독립유공자 후손, 유해봉환 대상 유족, 송일국 배우(김좌진 후손) 등 80여명이 초청됐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이종찬 광복회장, 박찬대 의원(이상룡 후손), 윤주경 의원(윤봉길 후손) 등이 함께 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14일 페이스북 메시지를 통해 “34년 전 오늘은 故(고) 김학순 할머님께서 오랜 침묵을 깨고 세상에 나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증언해 주신 날”이라며 “전시 성폭력 참상을 알린 고발을 넘어, 어떤 극한 상황에서도 인간의 존엄이 결코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는 가장 근원적이고도 준엄한 호소였다”고 기렸다. 

“우리는 이 숭고한 용기를 잊지 않아야 한다”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주어진 엄중한 책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이했지만, 위안부 피해자분들은 아직 자유와 평화를 누리지 못하고 계신다면서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이 온전히 회복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생존 피해자 6명의 건강과 평안도 기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