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정상화, 안정화 조치 일관되게 추진할 것"

2025-08-14     이승현 기자
통일부. [통일뉴스 자료사진]

통일부는 14일 김여정 조선로동당 부부장이 '한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가 전혀 없다'며 이같은 방향이 '헌법에 고착될 것'이라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한데 대해 "앞으로도 '정상화', '안정화'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통일부는 대변인실 명의의 입장을 통해 "지난 3년간 '강대강'의 남북관계를 '선대선'의 시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의연하고 긴 호흡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며,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구축을 위해서는 남북 모두의 성의있는 자세와 지속적인 행동조치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남북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정상화, '안정화'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부장이 담화에서 '이재명 정부의 대북 확성기 철거, 방송중단, 한미연합군사훈련 축소 등은 세간의 지지를 얻으려는 잔꾀, 개꿈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데 대해 정부는 일희일비하지 않고 계속해서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지속적인 행동조치를 취해 나가겠다는 입장인 셈.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대통령의 8.15경축사, 8월 18일 한미연합훈련, 8월 25일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북측도 여러 사안을 고려하고 있을 것이라는 취지로 김 부부장의 담화를 분석했다.

이 당국자는 김 부부장이 한국과 달리 미국에 대해서는 조건부로 관계개선 여지를 남긴데 대해서는 "현재 북한의 스탠스 자체가 적대적 두 국가를 표방하고 있고, 자기들이 근본적 문제 해결할 상대는 미국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의 관계를 좀 더 우선하고 있는 북한의 입장이 담긴 것"으로 짚었다.

‘대남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 없다’는 김 부부장 발표에 대해, 이성준 합동참모본부(합참) 공보실장은 “군은 관측한 사항에 대해서 사실을 설명드렸고 상대가 발표하는 그 의도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반박했다. ‘대남 확성기 1대 철거’를 확인했다는 것이다.

‘북한이 고작 1대 철거했는데 우리 군이 성급하게 발표를 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성준 실장은 “전 지역의 철거 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지 않느냐”면서 “그래서 계속 지켜보고 있는 단계였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