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 “성숙한 한일관계 기반 조성하자”

유엔 사무총장, “한국의 민주주의 회복” 관심

2025-06-18     이광길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7일(아래 현지시간)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만났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상회담은 17일 오후 3시 30분부터 약 30분 간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오늘날의 전략적 환경 속에서 한일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보다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관계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자”고 했다.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일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당국 간에 보다 활발히 대화를 이어가기로 하고,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상호 국익을 도모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계속 논의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은 급변하는 국제정세하에서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하고, 유사한 입장에 있는 양국이 보다 긴밀히 협력을 모색해 나가자”고 했다.

또한 “북한 문제를 포함한 지역의 여러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한미일 공조를 지속 유지, 발전시키고, 한일 간에도 협력을 심화하자”고 했다.

지난주 통화(6.9) 때와 마찬가지로 ‘셔틀외교 재개’ 의지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당국간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한일관계가 여전히 협력 관계를 향하여 나아간다는 데 대한 명확한 시그널이 주어졌고, 한일관계의 좋은 출발점이었다”고 평가했다. “두 정상이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눴고, 또 서로의 방문에 대해서도 아주 긍정적인 견해를 표명했다”면서 “서로 오고 가는 일이 빈번하게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과거사 문제가 나오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과거의 문제는 잘 관리해 나가고, 협력의 문제를 더 키워서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꾸려나가자, 그런 말씀들이 있었다”며 “대체로 공감을 이뤘다고 봐도 된다”고 대답했다. 

전날(16일) 캐나다 캘거리에서 G7 정상회의 ‘초청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정상과 만난 이 대통령은 17일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해 회원국과 초청국 정상들이 함께 하는 ‘확대 세션’에 참석해 두 차례 발언했다. 

17일 캐나다 G7 계기에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맨 왼쪽)과 회담하는 이 대통령. [사진출처-셰인바움 X 계정]

‘확대 세션’ 전후에 ‘초청국’들인 브라질, 인도, 멕시코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가졌으며, G7 ‘회원국’들인 영국, 일본, 그리고 주최국인 캐나다 총리와도 별도로 회담했다.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및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도 정상회담을 가졌다. 

강유정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이재명 대통령과 짧게 만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9월에 열릴 UN 총회에서 이 대통령이 한국의 민주주의 회복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또한 “한국이 앞으로 아시아에서 매우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은근히 촉구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세계 평화를 위해 UN이 할 일이 많다”면서 “과거 한국이 받은 도움을 국제사회에 돌려줄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하겠다”고 화답했다.

이번 G7 정상회의 초청국 중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는 회담이나 회동이 없었다. 고위관계자는 “(두 정상이) 인사를 나누고, 가벼운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특이한 내용은 따로 없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