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경호처 본부장 5명 대기발령
경호처, “뼈를 깎는 심정으로 거듭나겠다”
대통령실이 9일 ‘12·3 내란’에 가담한 경호처 본부장 5명 전원을 대기발령했다.
이날 아침 브리핑을 통해, 강유정 대변인은 “대통령실은 오늘자로 인사위원회를 열고 ‘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경호처 본부장 5명을 전원 대기발령한다”며 “추가적 조치가 나오기까지 대통령경호처는 당분간 직무대행체제로 전환된다”고 밝혔다.
“‘12·3 내란’ 과정에서 경호처는 법원이 합법적으로 발부한 체포영장 집행과 압수수색을 막으면서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초래했”으며 “경호처 수뇌부는 (부)적법한 지시를 거부하고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한 간부들을 상대로 인사보복을 취하기도 했다”고 질타했다.
강 대변인은 “국민 전체를 위해 봉사해야 할 국가기관이 사실상 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병으로 전락해 많은 국민들의 공분을 샀다”고 짚었다.
나아가 “이는 새 정부가 들어선 데 따른 인적 쇄신과 조직 안정화를 위해 조치이며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온 ‘열린 경호 낮은 경호’의 실행”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경호처(처장 황인권)는 9일 “지난 12.3 비상계엄 이후 사병화 되었다”는 비난을 받고 국민의 신뢰를 잃은 점에 대해 “스스로를 성찰하며 진솔한 사죄의 말씀을 국민께 올리면서 뼈를 깎는 심정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6월 9일부로 경호처의 최고위 간부인 본부장급 전원을 대기발령 조치하고, 핵심부서 간부급들에 대한 인사를 전격 단행하였다”고 확인하고 “금번 인사는 국민주권정부들어 그동안 국민들로 부터 불신을 받았던 경호처를 과감히 쇄신하고 거듭나는 차원의 첫 단추”라고 밝혔다.
아울러 대통령경호처는 “향후에도 철저한 내부 점검을 통해 조직 쇄신을 계속 해 나갈 것이고 국민들로 부터 신뢰와 사랑을 받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열린 경호, 낮은 경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호처 인사를 단행하면서 이전 정부에서 어려웠던 비화폰 서버 확보도 같이 진행이 되는가’는 질문을 받은 대통령실 관계자는 “결국 해야 될 일인데, (...) 대통령실에서 해야 될 일인지는 모르겠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