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총회서 처음으로 ‘북 인권’ 고위급 회의 개최

황준국 “북, 인권 침해 중단되면 핵무기 개발 중단될 것”

2025-05-21     김치관 기자
20일 유엔 총회 회의장에서 제79차 유엔 총회의장 주최 북한 인권 고위급 전체회의가 열렸다. [사진 제공 - 외교부]

“인권 침해가 중단되면 핵무기 개발 또한 중단될 것입니다.”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20일 오전 10시(현지시간)부터 유엔 총회 회의장에서 열린 제79차 유엔 총회의장 주최 북한 인권 고위급 전체회의에서 유엔 총회가 매년 북한 인권 결의안을 채택한 지 20년 만에 처음으로, 이 문제가 총회 고위급 회의에서 별도로 논의되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외교부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유엔 안보리, 인권이사회에 이어 모든 유엔 회원국이 참여하는 유엔의 대표 기관인 총회 차원에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폭넓은 참여와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우리측 수석대표 참석해 발언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황준국 대사는 “최근 제정된 가혹한 법률에 따라 북한 청소년들은 단순히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고 배포했다는 이유만으로 수년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며 “북한은 여러 면에서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의 현실 버전이다”고 규정했다.

또한 노예화의 반인도범죄에 해당할 수 있는 북한의 강제노동 상황과 강화되는 감시와 국경통제, 표현의 자유 제약 상황 등 악화되고 있는 북한 인권 상황을 지적했다.

황 대사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의 즉각적인 해결을 요구하고 특히, 북한에 억류된 우리 선교사, 김정욱, 김국기, 최춘길씨의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는 동시에, 강제송환 탈북민들의 비인도적 대우에 우려를 표하며 모든 유엔 회원국의 강제송환 금지원칙 준수를 촉구했다.

황 대사는 “너무 오랫동안 북한의 인권 침해는 핵 위협에 가려져 왔다”며 “오히려 북한의 핵 문제와 인권 상황은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북한 정권의 본질을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북한의 핵 프로그램은 강제 노동, 국가 자원의 전용, 그리고 주민들에 대한 완전한 통제와 같은 체계적인 억압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권 침해가 중단되면 핵무기 개발 또한 중단될 것”이라는 독특한 논지다.

나아가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통해 개발된 무기들이 이제 유럽 땅에 떨어지고 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장기화시키고 있다”며 “북한의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은 국제 핵 비확산 체제를 지속적으로 약화시키고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외교부는 “다수 참석국들도 러-북 군사협력에 우려를 표하는 한편, 악화되고 있는 북한 인권 상황을 지적하고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는 필레몬 양(Philemon Yang) 제79차 유엔 총회의장 주재하에 일제 브랜즈 케리스(Ilze Brands Kehris)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인권담당 사무차장보, 엘리자베스 살몬(Elizabeth Salmon)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이 참석하여 심각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했다.

탈북민 김은주와 강규리는 북한 인권 침해 실상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증언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탈북민 김은주와 강규리는 북한 인권 침해 실상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증언했다. [사진 제공 - 외교부]

탈북민 김은주와 강규리는 북한 인권 침해 실상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증언했고, 그레그 스칼라튜(Greg Scarlatoiu) 북한인권위원회(HRNK) 사무국장, 션 정(Sean Chung) 한보이스(HanVoice) 대표 등 북한 인권 관련 시민사회단체도 참석하여 악화되고 있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주유엔 한국대표부는 20일 오후 북한 인권 글로벌연대와 공동으로 리셉션을 개최, 유엔 회원국, 시민사회단체 등을 초청하여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해 온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동을 소개하는 등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황준국 주유엔대사 발언(전문)

Remarks by H.E. Ambassador Joonkook Hwang
Permanent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UN General Assembly High Level Meeting to address the human rights abuses and violations being committed in the DPRK
New York, May 20th 2025  

Thank you, Mr. President. Today marks a historic moment. For the first time in the 20-year history of the annual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PRK, the issue is being presented at a separate high level meeting of the General Assembly. This provides a meaningful platform for all Member States to shed light on the systematic, widespread,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DPRK.

Indeed, the heartbreaking testimonies of the courageous North Korean escapees like the previous speakers, KIM Eunju and KANG Gyuri, offer irrefutable evidence of the brutality they fled—whether 20 years ago or just recently. These haunting testimonies grow more valuable as escape becomes increasingly rare, due to the regime’s heightened domestic surveillance and stricter border controls.

Over a decade ago, the landmark report by the UN Commission of Inquiry (COI) found North Korea’s human rights violations to be unparalleled in contemporary world.

Still today, Pyongyang maintains its stifling grip by controlling every aspect of its people’s lives from their birth. Political prison camps and public executions serve as the ultimate mechanisms of terrorizing the population into submission.

The 2024 OHCHR report described North Korea’s forced labor as a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 which, in some instances, may constitute a crime against humanity of enslavement. Under recently enacted draconian laws, North Korean teenagers have been sentenced to many years in prison for simply watching and distributing South Korean dramas.

North Korea is, in many ways, a real-life version of George Orwell’s novel “1984.”

However, the DPRK’s horrendous crimes do not stop at the border. The ROK Government, once again, strongly urges the DPRK to immediately resolve all the cases of abductees including foreign nationals, unrepatriated prisoners of war, and detainees—including the prompt release of three Korean missionaries—KIM Jung Wook, KIM Kook Kie and CHOI Chun Gil.

At the same time, we remain deeply concerned about the inhumane treatment of North Korean escapees who face forced repatriation. As such, we urge all States, including neighboring countries, to respect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Mr. President,

For far too long, the DPRK’s human rights violations have been overshadowed by its nuclear threats. But human rights abuse is not a second-tier issue. Rather, North Korea’s nuclear issue and human rights situation are deeply interconnected and reflect the true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ir nuclear program is sustained by systemic repression: forced labor, diverted national resources, and total control over its people. If human rights violations stop, nuclear weapons development will also stop.

Weapons built through the suffering of the North Korean people are now landing on European soil, thus prolonging the Ukraine War. And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continue to undermine the global non proliferation regime and threate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I take this opportunity to call on all Member States to acknowledge the gravity of this moment. Let us continue to pressure the DPRK with a unified voice to abandon its repressive policies and uphold the dignity of its people.

Thank you.

(자료 제공 -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