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최신형 방공미사일 시험발사 참관..."곧 군대에 장비"

남포조선소 현지지도...'선박건조능력 획기적 제고' 중대 선결과제

2025-03-21     이승현 기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일 최신형 지대공 방공미사일 시험발사를 참관했다. [사진-노동신문]

북한이 본격 생산에 들어간 최신형 지대공 방공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노동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신문은 미사일총국이 20일 해당 군수공업기업소에서 본격 생산에 들어간 '최신형 반항공미사일' 무기체계의 종합적 전투성능 검열을 위한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시험발사 결과에 대해서는 "최신형 반항공미싸일무기체계의 전투적 속응성이 우월하며 전반적인 무기체계의 믿음성이 대단히 높은 것으로 인정되였다"고 밝혔다.

북은 시험발사 결과  지대공 방공미사일의 전투적 속응성이 우월하고 전반적인 무기체계의 신뢰가 대단이 높다고 평가했다. [사진-노동신문]

방공 요격미사일에 필수적 기능인 '속응성'이 우월하다는 건 자동조정체계가 설정값의 변동에 신속히 응답해 동작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

시험발사 위치를 비롯해 속응성 지표 등 세부사항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시험발사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중앙군사위원회 주요 간부들과 함께 참관했으며, 김 위원장은 "자랑할만한 전투적 성능을 갖춘 또 하나의 중요 방어무기체계를 우리 군대에 장비시키게 된다"고 하면서 해당 군수공업기업소와 반항공 무기체계 연구집단에 감사를 전했다.

시험발사는 한·미연합군사훈련인 '2025년 FS'(Freedom Shield, 자유의 방패)가 끝난 20일 진행됐다.

이날 국방성 대변인은 담화를 발표해 한·미가 '2025년 FS'의 일환으로 '비밀 지하갱도망 파괴'와 '핵무기 제거'를 위한 특수전 훈련을 감행했다고 하면서 "적대세력들의 모험주의적인 불장난소동이 몰아올 파국적결과에 다시한번 경종을 울리며 미국과 한국군부에 더이상의 무책임하고 위험천만한 군사적망동을 즉각 중지할것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가장 파괴적이고 치명적인 군사적수단의 사용을 포함하여 미한을 억제하고 필요한 경우 도발원점을 제거하기 위한 모든 선택항목은 우리 무력의 고려범위안에 있다"며, "핵보유국의 주권과 안전을 위험에 빠뜨릴수 있다는 망상에 사로잡힌 미국과 한국의 무분별한 군사적망동의 축적은 기필코 그들이 바라지 않는 가장 엄중한 후과를 초래할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대공미사일 시험발사는 정찰위성과 전술 지대지유도무기(KTSSM), 현무 탄도 및 순항미사일, 스텔스전투기 등을 동원하는 한미의 선제공격(킬체인, Kill Chain)과 참수작전에 대비해 방공 능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김 위원장은 20일 당 주요 지도간부들과 함께 남포조선소를 현지지도해 조속한 조선소 기술개건 현대화를 강조했다. [사진-노동신문]

김 위원장은 이날 당 주요 지도간부들과 함께 남포조선소를 현지지도해 조속한 조선소 기술개건 현대화를 강조했다.

개건현대화와 능력 확장이 진척되고 있는 생산공정을 돌아보면서 김 위원장은 "선박공업의 현대화를 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전반적인 선박건조능력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것은 국가경제발전과 주체적 해군무력강화를 위한 선결적이고 중차대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선박공업부문의 기구체계를 효률적으로 완비하고 정책적 및 기술적지도를 강화하는것과 함께 선박공업 전반의 현대화 수준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사업을 무엇보다 최우선시하여야 하며 전국가적이며 전폭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보장하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조선소의 기술개건 현대화의 주요 목표와 대규모 선박건조기지인 이곳 조선소를 현대화하는데서 제기되는 중요 문제에 대해서는 해당한 결론을 내렸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에도 남포조선소를 찾아 '나라의 믿음직한 대규모 군수선박 건조기지'라며 "남포조선소는 나라의 선박공업발전과 해군무력강화에서 커다란 중임을 맡고 있다"는 기대를 표시한 바 있다.

지난 8일에는 장소와 날짜를 특정하지 않고 '핵추진 잠수함' 건조 장면을 공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