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美 민감국가 포함은 ‘연구소 보안’ 문제” 해명
외교부, “한미 적극 협의중...협의 통해 제외된 선례도”
외교부는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시킨 것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라고 17일 밝혔다.
앞서 미 에너지부는 지난 16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 1월 초 한국을 ‘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 SCL) 최하위 범주에 포함시켰고, 이는 4월 15일 발효된다고 밝혔다.
미 에너지부(DOE)는 국가안보, 핵 비확산, 지역 불안정, 경제안보 위협, 테러 지원을 이유로 특정 국가를 민감국가 리스트(SCL)에 포함시키고 있고, 현재 중국과 러시아, 북한과 시리아, 이란 등 미국이 경계하거나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한 국가들이 포함돼 있다.
외교부는 17일 미측과 접촉한 결과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사유임이 파악됐다면서 “미측은 동 리스트에 등재가 되더라도 한미간 공동연구 등 기술협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외교부의 입장은 지난 10일 <한겨레> 단독 보도가 나온지 일주일 만에 나온 것으로, 항간에 나돈 국내의 핵무장론 대두나 12.3 비상계엄 사태 등 정치적 이유가 아니라 기술적 문제라는 해명인 셈이다.
외교부는 “정부는 한미간 과학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미 정부 관계기관들과 적극 협의 중이며, 동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며 “과거에도 한국이 미 에너지부 민감국가 리스트에 포함되었다가, 미측과의 협의를 통해 제외된 선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외교부를 주무부서로 관계부처와 함께 주미 한국대사관을 통해 미측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는 미국 회계감사원(GAO) 보고서를 토대로 1986년 1월~1987년 9월, 1993년 1월~1996년 6월 한국이 SCL에 포함됐고, 1994년 7월 28일 해제됐다고 보도했다.
외교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지난 1월 SCL에 포함된 명백한 사유는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이 조치가 적용되는 4월 15일까지 미측과 협의를 통해 명단에서 제외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