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크라 외교장관 회담, ‘북러 군사협력’ 대응 논의
조태열 “우크라 특사 방한시 의미있는 협의 이루어지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5일 오후(현지시간) 안드리 시비하(Andrii Sybiha) 우크라이나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우리 정부는 러북 군사 협력의 진전과 우리 안보에 대한 위협에 상응하는 실효적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조치는 밝히지 않았다.
외교부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탈리아 피우지에서 열리고 있는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조 장관이 시비아 우크라이나 외교장관과 회담을 갖고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등 우크라이나 전쟁 동향 및 우리의 대우크라이나 지원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조 장관은 북한의 대러 무기 이전과 파병 등 러북 간 불법적인 군사협력으로 인해 한반도와 유럽의 안보가 그 어느 때보다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고 강조하면서, 북한군의 파병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게 되어 염려스럽다고 하고 우리 정부는 러북 군사 협력의 진전과 우리 안보에 대한 위협에 상응하는 실효적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다”고 전했다. 그러나 구체적 ‘실효적 조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시비하 장관은 북한의 파병으로 양국이 공동의 안보 우려를 갖게 되었다면서 이에 대한 대응 필요성을 강조하고, 우크라이나 특사가 근시일 내 한국을 방문하여 관련 협의를 이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비하 장관 역시 무기지원 등 구체적 요구사항은 밝히지 않았고, 우크라이나 특사가 방한하면 우크라이나 측의 요구사항과 우리 정부의 구체적 대응방안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G7 순방일정을 마치고 귀국하면 우크라이나 특사의 방한 일정이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교차관은 24일(현지시간) <타스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산 무기가 러시아 시민을 죽이는데 사용된다면 궁극적으로 두 나라 사이의 관계를 파탄시킬 것임을 한국이 알아야 한다”고 강력한 경고음을 냈다.
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도 26일 각계 공동선언을 통해 “포탄 등의 공격 무기를 직접 지원하고 파병 등의 군인 파견으로 나아간다면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공식적이고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이라며 “러시아에 대한 공동교전국이 되어 경제와 안보 영역 모두에서 심각한 후과를 불러오게 될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지적했다.
시비하 장관은 시비하 장관은 우리 정부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에 사의를 표하고, 앞으로도 불법적인 러북 군사협력에 엄정히 대응해 나가기 위해 한국과 관련 동향 및 정보를 계속 긴밀하게 공유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우리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이 작년 7월 키이우 방문시 발표한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에 기반하여 우크라이나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다방면의 지원을 계속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하고, 우크라이나 특사 방한시 의미있는 협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외교부는 “양 장관의 취임 후 처음으로 성사된 이번 회담은 불법적인 러북 군사협력에 실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우크라이나와의 긴밀한 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우크라이나의 회복과 재건을 돕기 위한 우리 정부의 연대와 지원 의지를 확인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