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25일 ‘우리만의 사도광산 추도식’ 발표

[추가] 일측 추도식 불참...조선인 기숙사터서 ‘조선인 강제노역’ 추모

2024-11-24     김치관 기자

일본측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주최한 24일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을 결정한 우리 정부는 25일 별도의 추도식을 개최한다. 당초 취지와는 멀어진 것.

외교부는 25일 오전 9시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였던 ‘제4상애료’ 터에서 별도 추도식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우리측 추도식에는 24일 일본측 추도식 참석차 이미 일본에 도착해 있던 유가족 9명과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에서 가는 분도 당연히 주관기관(일측 실행위원회) 초청받아서 가는 것”이라고 확인했지만, 결국 유가족들의 방일 경비도 우리 정부가 부담했다.

일본측 추도식이 사도광산에서 일했던 ‘모든 노동자’를 추모하는 것과 달리 우리 독자 추도식에서는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한 조선인 노동자를 추모하는 추도사가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일본측 ‘사도광산 추도식’에는 정부 대표로 차관급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이 참석했다. 우리 정부 대표와 유가족이 불참해 사실상 '반쪽짜리'로 치러진 셈이다.

더구나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은 강제동원 피해자와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가 더 양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는가 하면, 2022년 8월 15일 일본 패전일에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바 있어 부적격자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 정부는 24일 추도식 날짜를 먼저 발표한 뒤 구체적 내용은 한일 당국간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했지만 결국 조율에 실패해 추도식을 하루 앞둔 23일 불참을 발표하고 24일 독자 추도식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일본측 추도식 불참 결정으로 최악의 상황은 모면했지만, 지난 7월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시 사도광산의 ‘모든 역사’를 전시하고 매년 추도식을 연다는 조건으로 찬성해줬다가 일본 측으로부터 '뒤통수'를 맞은 셈이어서 궁지에 몰리게 됐다.

외교부는 24일 오후 “내일 우리 자체 추도 행사 개최는, 과거사에 대해 일측과 타협하지 않겠다는 우리 정부의 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면서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한일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는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24일 입장문을 통해 “23일 출국한 최종 9명의 유가족은 오는 25일(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현지에서 별도의 독립적인 추도 행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애먼 돈 쓰고 일본까지 가서 이 무슨 망신이며, 이 무슨 수모인가?”라며 “윤석열식 ‘퍼주기 외교’, ‘막장 외교’의 처참한 결과”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