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사도광산 추도제, 참석자 제한·정부대표 미정
외교부, 약속한 ‘유가족 설명회’ 생략...해명 급급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사도광산에서 오는 24일 사도광산 모든 노동자를 위한 추도식이 열린다. 그러나 정부가 약속한 유가족 사전설명회는 생략되는 등 문제투성이 깜깜이 추도식이다.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에 위치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추도식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추도식에는 실행위원회 관계자, 민간단체, 지자체 관계자, 일본 중앙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유가족과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사도광산 강제동원 피해자 유가족 10여 명과 정부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며, 정부 대표는 일본 중앙정부 참석자 수준을 보면서 결정한다.
외교부 관계자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진정성 있는 추도식이 되게 해 달라고 요청했고, 중앙정부 차원 고위급 참석을 처음부터 강하게 요구”했지만 “일본 정부 대표 참석은 아직 확정이 안 된 상태”라는 것. 외교부는 엠바고 해제를 앞둔 20일 오후에야 차관급 인사가 참석할 것이라고 최종 확인했다.
더구나 실행위 구성에 대해서도 “어떻게 구성하는지는 잘 모르겠다”며 사도 현지에 있는 민간단체나 지자체 관계자들로 구성됐을 것이라고만 했다. 현지 민간단체 ‘사도문의모임’은 2015년부터 매년 10월 차별받던 모든 광산 노동자를 위한 소규모 추도식을 개최해왔다.
추모제가 사도광산에서 일했던 ‘모든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일본 정부 대표의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자’가 포함될 지도 관심거리다. 외교부 관계자는 “추도사 부분은 일본측과 협의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외교부는 “이번 사도광산 추도식은 지난 7월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관련 한일 합의의 결과로 개최되는 것으로 일본 정부 관계자도 참석하는 가운데 한국인 노동자를 포함한 모든 노동자를 대상으로 추모의 뜻을 표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한일간 합의에 따라 매년 개최되는 추도식에 희망하는 유가족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예고됐던 유가족 대상 사전 설명회는 건너뛰게 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20일 오전 기자들에게 “추도식 관련 확정 상황이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소요됐다”며 “개별적으로 최대한 많은 유가족들 연락해서 본인들이 가고 싶다고 한 분들 모시고 가게 됐다”고 해명했다.
또한 “추도식 장소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가 실내라 수용인원 제한이 있고, 가려면 여권발급이나 행정사항이 있어서 올해 못 가게 되는 경우도 있다”며 매년 개최되는 추모제이므로 내년에는 갈 수 있도록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사실상 올해 첫 추모제는 유가족들이 제한적으로만 참석 가능하다는 설명인 셈이며, 더구나 추도식장은 수용인원이 100여 명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외교부는 20여 명 정도의 유가족을 접촉해 11명의 유가족이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들의 취재도 자유로운 상황은 아니다.
유가족의 추도식 참가 경비 역시 일본측이 아니라 우리 외교부가 지원하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추도식 자체가 초청받은 분들만 참석할 수 있는 행사”라며 “우리나라에서 가는 분도 당연히 주관기관(일측 실행위원회) 초청받아서 가는 것”이라고 확인했다.
앞서, 지난 7월 27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46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World Heritage Committee)는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했고, 우리 정부는 ‘전체 역사’를 사도광산 ‘현장에’ 반영하라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권고와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일본이 성실히 이행할 것과 이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할 것을 전제로 등재 결정에 동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