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파국 부르는 담화” “불통의 끝판왕”
7일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을 지켜본 시민·사회단체들이 분노와 실망을 쏟아냈다.
참여연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대통령에 대한 일말의 기대를 허물고 파국을 부르는 담화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담화 모두에 ‘사과’했으나 “구체적으로는 아무것도 바꾸지 않겠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인적 쇄신은 인사 검증을 이유로 사실상 유예하고, 김건희 특검법은 ‘인권유린’이자 ‘정치선동’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밝혔다”고 짚었다.
“대통령의 상황 인식과 대처는 국민 여론에 떠밀려 ‘사과는 하지만 나는 내 갈 길 가겠다’였다”면서 “대통령이 바꾸지 않겠다면, 주권자 국민이 나서 대통령의 생각과 행동을 바꿀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채상병특검법’, △‘공천개입규명특검법 관철 의지를 분명히 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성명’을 통해 “국정 혼란과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친 점에 대해 사과의 뜻을 밝혔으나, 정작 공천개입 의혹에 대해서는 부인했고,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 관련 특검 수용도 거부하여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대단히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해명이 불층분하며, 이로써 독립적인 진상조사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김건희 여사 관련 특검 거부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했으며, “지금 당장 대통령실을 전면 개편하고, 구체적인 인사 쇄신 방안과 소통 방식 개선책을 국민 앞에 명확히 제시하길 바란다”고 다그쳤다.
전국민주노동도합총연맹(민주노총)도 이날 ‘논평’을 통해 “7일 윤석열 대통령 담화는 국민들의 분노를 전혀 모르는 불통 정권의 끝판왕이었다. 세상물정 모르는 대통령의 변명과 동문서답이었다”고 질타했다.
“명태균 의혹” 관련하여 “사실에 기반한 설명과 사과, 인적쇄신, 특검 수용 등을 예상했지만 그 어떤 것도 해소 되지 않았고, 언급조차 없었다”고 지적했다. “특검은 정치선동이고 인권유린, 삼권분립 위배”, “가짜뉴스로 ‘김여사를 악마화’한다”는 등의 발언을 거론하면서 “대통령은 변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이런 대통령을 가진 대한민국 국민이 처량하다”면서 “11월 9일 민중총궐기에 우리가 모여야 하는 이유가 더욱 명확해졌다. 노동자 민중이 나서서 대통령을 퇴진시키고 나라를 바로 잡자”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