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 겨냥 “긴장 완화해야”...중, “모순 격화 피해야”

2024-10-16     이광길 기자
15일 브리핑하는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 [사진 갈무리-미 국무부]

이미 좋지 않던 한반도 정세가 무인기 사태로 한층 더 경색된 가운데, 15일(아래 현지시간) 미국과 중국이 남북 당국을 향해 ‘자제’를 촉구했다.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남북 연결도로 북측 구간을 폭파했는데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을 받은 태뮤 밀러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동맹인 한국과 긴밀히 조율하면서 북한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긴장을 완화하고 충돌 위험을 증가시키는 어떠한 행동도 중단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우리는 북한에게 대화와 외교로 돌아올 것을 권고한다”고 되풀이했다. 

‘북한이 자기 도로를 폭파했는데 긴장을 고조시키는 조치인가’는 의문에는 “그게 확실히 긴장을 완화하는 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대꾸했다.  

‘북한이 러시아를 위해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파견할 것’이라는 보도에 대해, 밀러 대변인은 “그 보도에 대해 우려한다”고 밝혔다. 

“그 보도가 사실이라면 지난 몇 달 동안 진전된 두 나라 관계가 크게 증가한 것”이며 “전장에서 상당한 사상자를 내고 있는 러시아에게 있어 새로운 단계의 절박함을 드러내는 것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정책’을 담당하는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이 15일 일본에 이어 16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마오닝 중 외교부 대변인. [사진-중 외교부]

한편, 15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도로를 폭파했다는 데 중국은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을 받은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우리는 관련 정황에 유의하고 있다. 반도 이웃나라로서 중국은 반도 정세 발전과 조선-한국 관계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반도 정세 긴장은 각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당면 과제는 모순이 더 격화되는 걸 피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반도 평화와 안정에 힘쓰고 반도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프로세스를 추동한다는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면서 “우리는 각국이 이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를 희망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14일 윤석열 대통령이 신임 주중 대사로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명한 데 대해 마오 대변인은 “대사는 국가와 국가 관계 발전의 가교”라며 “우리는 신임 주중대사 지명애 대해 한국측과 소통하고 중한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함께 추진하고 싶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