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사 만난 이재명 대표, “우발적 충돌 사태” 우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미국의 ‘관심’을 당부했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당대표회의실에서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 대사를 만나 “ 현재 대한민국의 정세가 매우 불안정해서 휴전선에 우발적인 충돌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매우 높아가고 있어서 각별한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힌 것이다.
‘우발적 충돌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따로 설명하지 않았다. 한반도 정세 관리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의지나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이날 이재명 대표는 동북아와 국제 정세가 매우 유동적인 상황이라며 △한·미 협력, △한·미·일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후변화나 팬데믹, △과학기술 중심 시대로의 큰 변화에 따른 협력뿐만 아니라 “특히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관한 문제, 미국도 관심이 많을 핵 개발 문제라든지 미사일 문제에 대해서도 한미 간의 긴밀한 협력이 꼭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북한의 핵능력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핵 개발 도미노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겠다”고 우려했다. “한국 내에서도 핵 개발 욕구가 점점 커지고, 그것이 어쩌면 일본의 핵 개발로까지 이어져서 동북아에 매우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겠다는 걱정”을 들어 “한·미·일간의 협력관계도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봤다.
26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 보고에서, 국가정보원(국정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방문한 HEU 시설을 지난 13일 북한이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라며 “대외적으로 (11월) 대선을 앞둔 미국을 의식한 행위”라고 평가했다.
정보위 간사(국민의힘)인 이성권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7차 핵실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미 대선 전보다는 (대선) 후가 될 가능성 있지 않냐”고 봤다. 박선원 의원(민주당 간사)은 “북·중관계 개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국정원 관측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