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임종석 겨냥 “통일이 인생목표라더니 급선회”

2024-09-24     이광길 기자

24일 윤석열 대통령이 “평생을 통일운동에 매진하면서 통일이 인생의 목표인 것처럼 이야기하던 많은 사람들이, 북한이 ‘두 국가론’을 주장하자 갑자기 자신들의 주장을 급선회했는데,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국무회의를 주재한 윤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이날 국무회의에서 “요즘 정치권 일각에서 갑자기 통일을 추진하지 말자, 통일이라는 말은 이야기하지 말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누군지는 밝히지 않았으나,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자신들의 통일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면 反통일, 反민족세력이라고 규탄하더니, 하루아침에 입장을 180도 바꾼 것을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는가”면서 “이는 대한민국 헌법이 명령한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 추진 의무를 저버리는 반헌법적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통일을 버리고 평화를 선택하자’며, ‘통일부도 없애자’, 대한민국의 헌법상 영토 조항과 평화통일 추진 조항도 삭제하는 등 헌법을 개정하자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핵 공격도 불사하겠다며 ‘적대적 두 국가론’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 과연 가능이나 한 얘기인가”라고 물었다.

윤 대통령은 “통일을 포기하면, 남북의 갈등과 대립은 더 첨예해지고, 한반도의 안보 위험도 더 커진다”면서 “정부는 공허한 말과 수사가 아닌, 강력한 힘과 원칙에 의한 진정한 평화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변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늘 평화적인 자유 통일을 주장해 왔다. 그리고 앞으로도 평화적인 자유 통일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이는 결코 무력에 의한 통일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8.15 통일독트린이 흡수통일 추진이냐’는 의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한반도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자유 통일에 다가가기 위해, 한층 노력을 강화하겠다”면서 “모든 개인의 자유와 인권이 존중되고, 미래 세대에게 꿈과 희망을 안겨주는 통일 대한민국을 준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19일 광주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적대적 두 국가론’을 들고 나온 “현시점에서 통일 논의는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나아가 “통일하지 말고 함께 살며 서로 존중하고 같이 행복하면 좋지 않을까”면서 “객관적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고 주장했다. △헌법 3조 영토조항 개정 또는 폐지, △통일부 정리 등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주류는 ‘임종석 개인 의견’이라며 선을 그었다. 지난 22일 김민석 의원이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은 비판돼야 한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설득할지언정 동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 게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