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푸틴 방북에 ‘북러 군사협력 심화’ 경계

한미 외교차관, 푸틴 방북 앞두고 ‘긴급 유선협의’

2024-06-14     김치관 기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북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미 양국이 북러 군사협력에 우려를 표명하는 목소리를 내는 등 민감한 대응에 나서 주목된다.

외교부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은 14일 오전 커트 캠벨(Kurt M. Campbell)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긴급 유선 협의를 갖고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가능성을 포함하여 한미동맹,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9월 13일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자료 사진 - 통일뉴스]

푸틴 대통령이 다음주 초반 북한을 방문한 뒤 베트남을 방문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미 양국이 차관급 ‘긴급 유선 협의’를 갖는 것은 조만간 방북이 실현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외교부에 따르면, 김 차관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통해 북한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역내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군사협력 등이 심화되는 결과가 초래되어서는 안된다는 우리의 분명한 입장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캠벨 부장관은 한국의 입장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하고, 이번 방북이 야기할 수 있는 역내 불안정과 도전에 대해 깊이 공감하며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외교부는 “양측은 관련 동향을 계속 예의주시해 나가는 한편, 북한의 대남 도발과 역내 긴장 고조 행위에 대해서도 빈틈없는 공조하에 단호히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며 “양 차관은 우크라이나 등 지역 및 글로벌 주요 현안들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양 차관은 한미 양국이 금주 초 제3차 핵협의그룹(NCG) 회의에서 ‘공동지침 문서’ 검토를 완료한 것을 높이 평가하고, 이는 한미간 일체형 확장억제 강화를 위한 공고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한편,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13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 시기에 대해 “현재로서는 말할 수 없다”면서 “북한과 관계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깊다”고 말하고 북러 관계 발전을 서방 국가들이 우려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이웃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킬 우리의 권리는 누구도 침해할 수도 없고, 도전할 수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