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간 수억불 규모 불법사이버 수익
한미, 4차 ‘북 사이버 실무그룹회의’ 개최
한미 당국자들은 26일 서울에서 ‘제4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 실무그룹 회의’를 갖고 북한의 사이버 활동을 통한 불법 수익과 정보 탈취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준일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정 박(Jung Pak)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를 수석대표로 하여, 양국 외교・정보・사법・금융당국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실무그룹 회의가 열렸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양측은 북한이 가상자산 탈취와 글로벌 IT 기업 위장 취업을 통해 연간 수억불 규모의 불법사이버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북한의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는 만큼 한미가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데 의견을 함께 하였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양측은 북한 사이버 인력이 활동 중인 국가를 포함한 각국 정부 및 관련 국제기구를 대상으로 한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개도국의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를 위한 공조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며 “양측은 북한 IT 인력의 불법 구직 활동을 차단하기 위해 글로벌 구직 사이트 및 온라인 지불 플랫폼과의 정보 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암호화폐거래소 등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와의 공조를 강화함으로써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및 자금세탁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방산 분야 정보 탈취 시도 등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 관여에 대해서도 평가를 공유하고,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하였다”고 전했다.
한미 당국은 북한 사이버 활동에 대해 핵⸱미사일 개발 차단을 위한 ‘돈줄죄기’에 주력해왔고, 최근에는 ‘정보죄기’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한미 양측은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에 관여한 대상에 대한 첫 한미 공동 독자제재(23.4.24, 5.23), △북한 IT 인력 활동 대응을 위한 글로벌 민관 심포지움 공동 개최(5.24),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에 대한 합동권고문을 발표(6.2) 등 한미 공동 조치가 북한의 불법사이버 활동을 상당 부분 위축시키는 한편, 국제사회 및 민간 분야의 경각심을 제고했다고 평가했다.
외교부는 “양측은 그간 한층 공고화된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연대 강화를 선도해 나가는 방안을 협의하였다”며 “양국간 범정부 회의가 1년간 4차례 개최된 것은 이례적인 일로, 한미가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긴밀하게 공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도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한미 양국은 북한의 사이버 활동을 통한 자금과 정보 취득을 차단하는데 상당한 공동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