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 경제·사회 실태보고서』연내 공개발간 준비

2023-05-03     이승현 기자
통일부. [통일뉴스 자료사진]

통일부가 북한인권보고서 공개발간에 이어 북한의 경제·사회·문화 실상을 알리기 위한 『북한 경제·사회 실태보고서』 공개발간을 준비하고 있다.

통일부는 지난 2010년부터 탈북민 6,000여명을 대상으로 북한의 경제활동, 주민생활, 주민의식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해 온 '북한 경제·사회 심층정보 수집' 사업 결과 중 우선 주요 통계와 증언을 바탕으로 올해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하고, 새로운 조사방법도 개발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준비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올해까지 13년간 정보 수집 방식은 매년 1,000여개 정도의 설문을 토대로 사회통계업체나 관련 연구자들이 문의하고 답변을 받는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결합해 왔는데, 이번에 기존 조사방법의 효과에 대한 재검토도 이뤄질 예정이다.

입찰공고는 오는 9일까지이며, 자세한 내용은 국가종합전자조달(나라장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월 중 발간할 계획인  『북한 경제·사회 실태보고서』는 출신 지역과 직업, 성별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통계 분석외에 탈북시기에 따른 북한 실상의 변화도 종합적으로 제시하며, 통계와 증언 외에 전문가들의 분석을 포함한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통일부가)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여기엔 적지 않은 증언과 진술이 포함돼 있어서 이걸 한꺼번에 발간하는 건 좀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올해는 주요 통계, 증언 중심으로 공개 발간하고 순차적으로 경제·사회 하위 분야의 테마별 보고서 형식으로 발간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자료의 시의성이 떨어지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최근까지 탈북민의 국내입국이 줄었기 때문에 자료의 절대량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로선 확인할 수 있는 모든 가용정보를 확인했다. 구할 수 있는 최신 정보가 반영돼 있다"고 답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 실상에 대해 국민의 알권리 충족 자원에서 접근했으며, 북한 실상을 국민에게 알리라는 대통령실의 요구 뿐만 아니라 국회와 학계의 공개요구도 있다"고 하면서 "6천여명 이상의 축적된 증언과 정보가 있어 신뢰성과 객관성이 확보됐다고 판단해서 올해 공개하기로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