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못 한다’, 60%대로 치솟아 [갤럽·리얼미터]

2023-03-20     이광길 기자
윤석열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추이. [사진출처-리얼미터]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평가가 다시 60%대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3월 3주차 주간 집계(무선 97 : 유선 3, 총 2,505명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취임 45주차 국정 수행 부정 평가(‘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가 60.4%(잘 못하는 편 7.4%, 매우 잘 못함 53.0%)였다. 지난주 대비 1.5%p 상승하며, 2월 2주차(부정평가 60.3%) 이후 5주 만에 다시 60%대로 올라섰다.  

긍정평가는 36.8%(매우 잘함 21.6%, 잘하는 편 15.3%)에 불과했다. 지난주 대비 2.1%p 낮아졌으며, 2주 연속 하락했다.

60대 이상-대구·경북을 제외한 전 연령, 전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압도했다.

지난 17일 [한국갤럽]도 비슷한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3.1%p, 응답률 9.0%.)

지난 14~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33%가 긍정 평가했고 60%는 부정 평가했다. 의견 유보는 7%(어느 쪽도 아님 2%, 모름/응답거절 5%). 

부정 평가(603명, 자유응답) 이유로는 ‘일본 관계/강제동원 배상 문제’, ‘외교’(이상 15%), ‘경제/민생/물가’(10%) 등이, 긍정 평가(330명, 자유응답) 이유로는 ‘노조 대응’(18%), ‘외교’(9%), ‘일본 관계 개선(7%) 등이 꼽혔다.

[한국갤럽]은 “이번 주 대통령 직무 긍·부정 평가 이유 최상위는 지난주와 비슷하다”면서 “정부는 지난 3월 6일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제3자 변제안과 근로시간 개편안을 발표했는데, 부정 평가 이유에서는 노동 문제보다 일본·외교 지적 사례가 훨씬 많다”고 알렸다. (*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언제나 그렇듯 대통령실은 민심과는 동떨어진 궤변을 되풀이했다.

이도운 대변인은 19일 ‘방일 결과 브리핑’을 통해 “어제와 오늘 이어지는 야당 측의 비판을 보면 조금 아쉽거나 실망스러운 점도 없지 않다”면서 “역사의 큰 흐름이나 국제질서 변화의 큰판을 읽지 못하고 너무 지엽적인 문제를 제기하거나 지나치게 과도한 용어를 동원해서 정치적 쟁점을 만들려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를 많은 국민들이 하고 있다”고 강변했다. 

야권은 융단폭격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강제동원 배상, 지소미아, WTO 제소 취소 외에 독도 영유권 그리고 위안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문제까지 정상회담 테이블에 올랐다는 얘기가 있다”며, “사실이라면 충격적인 일”이고 “국민의 자존심을 훼손한 것도 모자라서 대한민국의 자주독립을 부정했다”고 질타했다.

나아가 “윤석열정권의 대일굴욕외교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국회가 강력한 조치에 나서야 한다”며, “민주당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망국적 야합에 대한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지난 18일 서울 시청광장에서 열린 ‘강제동원 굴욕해법 강행규탄 3차 범국민대회’에 참석한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이런식의 사죄와 배상은 어떤 것도 필요 없다’고 절규했다. 국민들은 제발 우리의 자존심을 지켜달라고 분노의 목소리를 높였다”면서 “이 모든 것을 깡그리 무시하고 일본의 입맛대로 모든 것을 갖다 바치는 외교를 하고 돌아왔는데, 우리가 조공외교라고 하지 못할 이유가 있는가”라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