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중국과 계속 소통...중국 조치에 유감”
중국, 한국인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 전면 중단
중국 정부가 한국 국민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한다고 10일 발표하자 우리 정부는 유감을 표명하고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정부의 중국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한 방역강화조치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에 입각해서 내린 조치”라며 “정부는 국제사회와 투명하게 관련 정보를 공유해왔고, 중국 측과도 계속 소통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 정부는 이러한 입장을 외교채널을 통해서 중국 측에도 계속 전달하고 소통해온 바 있다”며 “앞으로 이러한 방역 문제에 대해서는 한중 양국 간 계속 소통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주한중국대사관은 10일 오후 1시께 소셜미디어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중국 국내 지시에 따라 오늘부터 주한중국대사관 및 총영사관은 방문, 상업무역, 관광, 의료 및 일반 개인 사정을 포함한 한국 국민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상기 사항은 한국이 중국에 대한 차별적인 입국 제한 조치 취소 상황에 따라 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이번 조치가 우리 정부의 중국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한 방역강화조치에 대한 대응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중국측은 우리 정부에 단기비자 발급 중단 조치에 대해 몇 시간 전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해 12월 30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1월 2일부터 단기 비자 발급을 제한하고 중국발 항공편 추가 증편을 제한하는 조치를 한시적으로 취했다. 또한 입국 전과 후 검사 조건을 강화하고 중국발 해외유입 확진자의 격리 관리도 강화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9일 저녁 박진 외교부장관이 친강(秦剛) 신임 중국 외교부장과의 통화에서 우리 정부의 방역 강화 조치는 한시적으로 꼭 필요한 방역조치라고 설명하고 우리 측 방역 조치 이후에도 중국발 입국자 확진 비율이 높은 상황에서 조치를 완화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것을 설명을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측이 상응조치를 취하겠다는 이야기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이번 중국 조치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외교 채널을 통해서도 중국 측에 우리 입장을 분명하게 전달한 바 있다”고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