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웅 전 광복회장 별세..향년 78세

2022-10-30     이승현 기자
김원웅 전 광복회 회장. 2020년 1월 신년 기자간담회 당시 모습. [통일뉴스 자료사진]

김원웅 전 광복회장이 30일 오후 별세했다. 향년 78세.

지난 2월 독립유공자 후손의 장학사업을 위해 운영하던 국회 내 카페 운영 수익금을 유용한 혐의로 국가보훈처가 경찰에 수사 의뢰한 직후 '부끄럽고 민망하다'는 입장을 남기고 광복회장직에서 자진사퇴한 뒤 암투병을 하다 이날 오후 경기도 용인의 한 요양원에서 눈을 감았다.

지인들에 따르면, 장례는 고인의 뜻에 따라 빈소를 마련하지 않고 가족장으로 치러지며, 영구는 1일 발인을 거쳐 고인이 운영하던 강원도 인제 허준약초학교에 안치될 예정이다.

백범 김구의 중매로 부부의 연을 맺은 조선의열단 김근수 지사와 여성광복군 전월선 여사의 장남으로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있던 중국 충칭(重慶)에서 태어난 고인은 평소 '본색은 투철한 민족주의자'임을 감추지 않았다.

지난 2019년 6월부터 '국가 정통성의 중심에 독립유공자들의 조직인 광복회를 올리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4년 임기의 제21대 광복회장으로 취임해 일제 식민지배 36년, 친일파 강점 74년을 종식시키겠다는 거침없는 언사와 행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1992년 14대 총선 출마 이후 16, 17대까지 3선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무현 정부시절에는 대북 비공개 특사와 3년간의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을 역임했다.

정계에 입문한 1992년부터 일제잔재청산의원모임 대표(1992~1996), 국민학교 명칭을 초등학교로 바꾸는 교육법 개정(1995), 독립운동가 예우에 관한 법 개정(1994), 생존 애국지사 예우금 예산 확보(1993), 민화협 공동의장(2003), 친일인명사전 예산지원(2003), 일제강제동원진상규명 및 보상법 제정(2003), 제주 남북민족평화축전 조직위원장(2003),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정(2005),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2006~2009), 친일반민족행위자 국립묘지 안장 금지를 위한 상훈법 개정안 제출(2007), 무국적 순국선열의 국적회복을 위한 국적법 개정 추진(2007) 등이 대표적으로 한 일들이다.

정계를 떠난 2009년 이후에도 친일미화 교학사교과서 출판정지 가처분 신청(2013), 박근혜의 친일군인 백선엽 군복 문화재 지정 저지(2013), '일본의 조선지배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주장한 문창극 총리임명 저지(2014), 단재신채호선생기념사업회 회장(2004~2017),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 대표(2011~2017) 등 민족주의에 입각한 그의 '독립운동'은 멈추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