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4.19 묘지 참배...“민주주의는 국민 관심으로 성장”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아침 서울 강북구 수유리 국립 4.19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박종구 4·19민주혁명회장, 정중섭 4·19혁명희생자유족회장, 박영식 4·19혁명공로자 부회장, 김용균 4월회 회장, 정용상 4월회 수석부회장, 김상돈 4월회 사무총장, 이창섭 국립4·19민주묘지소장과 황기철 국가보훈처장, 유영민 비서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들이 함께 했다.
문 대통령은 묘지 중앙에 위치한 기념탑에 도착해 헌화와 분향을 했다. 나팔수의 진혼곡이 울려퍼지는 가운데 묵념을 한 뒤 김용균 사월회 회장 등과 악수한 뒤 묘지를 떠나 청와대로 귀환했다.
이날 SNS 메시지를 통해, 문 대통령은 “4·19혁명 62주년”이라며 ““강산이 다시 깃을 펴는 듯했다”는 감격의 말처럼, 독재에 억눌렸던 나라를 활짝 펼쳤던 국민의 함성이 들리는 듯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4·19혁명은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며, 부마민주항쟁과 5·18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과 촛불혁명에 이르는 우리 민주주의 발전의 도화선이었습니다. 오늘 아침에도 4·19민주묘지에는 여전히 민주주의가 눈부신 꽃을 피워내고 있었습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민주화 운동을 기리는 데 최선을 다해왔다”고 자부했다. 2·28대구민주운동과 3·8대전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제정했다. ‘4·19혁명’ 유공자를 추가로 포상하고, ‘4·19혁명’ 관련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동시에 “민주주의는 국민의 관심으로 성장한다”고 강조했다.
“정치를 넘어 경제로, 생활로 끊임없이 확장될 때 억압과 차별, 부당한 권력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것”이고 “우리는 코로나 속에서도 민주주의를 확장했다”면서, “감염병의 극복과 탄소중립 같은 국제적 과제 역시 서로를 더 깊이 이해하고 포용하는 민주주의만이 해결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