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건설적 관여 바란다면 결정은 북이 해야”

2022-01-28     이광길 기자

새해 들어 북한이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을 총 여섯 차례 발사한 가운데, 미국 정부는 유인책 제시 없이 ‘공 넘기기’를 되풀이했다.   

27일(현지시각)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멈추지 않는데 압박을 높여야 하는 것 아닌가’는 질문을 받은 네프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12일 북한에 독자 제재를 했고 유엔 안보리에 대북 제재 목록 추가를 요구했다고 해명했다.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제재는 중국과 러시아가 ‘보류’를 요청함에 따라 사실상 무산됐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리는 북한에 적대 의도를 품고 있지 않다. 우리는 북한과 게속 대화를 모색하고 있다.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되어 있”으나 “그들이 의미 있는 반응을 하지 않고 있다”고 공을 넘겼다. 

“건설적으로 관여하길 원한다면, 결정은 북한이 하라”고 말했다.  

‘전날 토니 블링컨 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 문제에 대해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어떻게 반응했는가’는 질문에는 “이 문제가 논의됐다”고 확인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중국은 북한과 다른 모든 나라들과는 다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중국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최우선 목표를 함께 달성하기 위해 그들의 영향력을 건설적으로 사용하라고 꾸준하게 촉구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27일 “우리는 유관국들이 조선반도 평화 안정이라는 대국적 차원에서 언행을 신중하게 하고 대화와 협상이라는 올바른 방향을 견지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 추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길 바란다”는 원론적 입장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