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조선인 강제노역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외교부, “즉각 철회 촉구...국제사회와 단호히 대응”
군함도를 포함한 유네스코 일본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일본이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본이 또다시 조선인 강조노역 역사가 깃든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 추천 후보로 선정해 논란을 빚고 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유네스코 일본 근대산업시설 관련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과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에서 또 다른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 추진키로 한 데 대해 매우 개탄스러우며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7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가 한국인과 연합군 포로 등에 대해 강제노역이 있었던 일본 근대산업시설 관련 일본의 위원회 결정 불이행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하고, 충실한 이행을 촉구한 것을 상기하며 일본이 동 위원회 결정부터 조속히 이행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최영삼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강제로 노력이 이루어진 장소가 이에 대한 충분한 서술 없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지 않도록 유네스코 등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화상으로 만나 “사도광산이 2차세계대전 당시 한국인에 대한 강제노역이 발생한 장소”라며 “ 또다른 강제노역의 장소라 할 수 있는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일본의 시도가 매우 개탄스럽고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2015년 군함도를 포함한 근대산업시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강제노역 사실을 알리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았고, 지난 7월 세계문화유산위원회는 이에 대해 이례적으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지만 일본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당국자는 “일본은 일본 근대산업시설 관련 위원회 결정부터 이행해야 한다”며 “한국인 강제노역 사실에 대한 충분한 서술 없이 사도광산 등재는 돼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또한 “신청서 공개돼 봐야 알겠지만 일본이 강제노역과 관련된 서술을 누락하는 왜곡된 상태로 등재시도를 한다면 우리 정부는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부적합,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 해석 필요성을 유네스코하고 전문가기구에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설명해나가고 설득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세계유산위원국들이 중요한데 이 국가들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외교교섭도 전개해나갈 예정”이라며 “유네스코나 국제사회와 함께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군함도와 달리 사도 광산은 연합군이나 중국인 강제노역은 없고 조선인 강제노역만 있는 곳으로 알려졌다.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에서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키로 결정했고, 이후 일본 내각이 각의에서 결정하면, 내년 2월 1일까지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내년 3월부터 20123년 5월까지 세계유산 전문가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에서 심사를 거쳐 2023년 6월 세계문화유산위원회에서 등재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 당국자는 우리 정부가 일본 관계자를 초치해 항의한 바 있다고 확인하고 “전 과정에서 유네스코와 협조는 말할 것도 없고 국내 관계부처, 전문가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서 대응해나갈 것”이라며 “우리 언론과의 소통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