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대북 접근법 초점은 위협을 줄이는 것”
“이러한 정책과 접근법을 수립하고 협의하는 데서 초점은 남북한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는 것과 함께 미국과 우리 동맹국에 대한 위협을 줄이는 것이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9일(현지시각)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에 대한 접근법 모색에서 진전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우리는 현존하는 압박 옵션과 미래 외교의 가능성에 대해 한국, 일본 등 동맹국 및 우방국들과 긴밀한 협의와 조율을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북한 비핵화’(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약속에는 변함 없다는 것 외에 더 알려줄 만한 세부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대북 관여가 늦어질 경우 추가 핵실험이나 미사일 테스트가 걱정되지 않느냐’는 지적에는 “북한 관련해서든 이란 관련해서든, 먼저 우리가 정확히 같은 페이지에 있다는 걸 동맹국들과 우방국들이 알기를 원한다”고 답했다.
‘한국과 일본이 북한의 위협에 대해 항상 같은 입장을 취하는 건 아니다’는 의문에 대해, 프라이스 대변인은 “바로 그것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란 문제든, 북한 문제든 우리가 너무 빨리 움직이면 동맹 및 우방국과 함께 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그는 “어떤 접근법이든 그 전에 외교적 밑작업이 중요하다”면서 “우리의 전략적 목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고 더 중요하게는 동맹 및 우방국들이 우리의 전략적 목표를 알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국의 접근법을 조화롭게 조율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이나 블링컨 국무장관이 조만간 해외에 나가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우리가 준비가 됐을 때, 블링컨 장관이 먼저 가까운 동맹과 우방국에 가게 될 것”이고, “아시아 동맹들도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