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북 미사일 기자 13곳’ 보도에 “새로운 건 하나도 없다”
김의겸 대변인, CSIS 보고서 내용 조목조목 '일축'
‘그간 드러나지 않았던 북한 미사일 기지 13곳을 확인했다’는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보고서에 대해, 청와대가 13일 정면 논박해 주목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청와대 춘추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통해 “CSIS에서 낸 보고서의 출처는 상업용 위성인데 한미 정보당국은 군사용 위성을 이용해서 훨씬 더 상세하게 이미 파악을 하고 있는 내용”이라며 “면밀하게 주시 중인데 새로운 건 하나도 없다”고 전면 부인했다.
또한 “삭간몰에 있는 미사일 기지라고 하는 것은 단거리용”이라고 확인하고 “스커드와 노동, 단거리용으로 ICBM이나 IRBM과는 무관한 기지”라고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기사 내용 중에 ‘기만’, ‘Great Deception’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 또한 북한이 이 미사일 기지를 폐기하겠다고 약속한 적이 없다”며 “미사일 기지를 폐기하는 게 의무조항인 어떠한 협정도, 어떠한 협상도 맺은 적이 없다”고 정면 반박했다.
“이걸 ‘기만’이라고 하는 건 적절한 표현이 아닌 것 같고, 오히려 이러한 미사일 기지가 있다는 것 자체가 협상을 조기에 성사시켜야 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생각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미신고’라고 하는 표현도 나오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라며 “신고를 해야 될 어떠한 협약도, 협상도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신고를 받을 주체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역시 “북의 위협을 없애기 위해서 북미 대화를 비롯해서 협상과 대화의 필요성을 더 부각시키는, 필요성을 더 보여주는 그러한 사실 관계”라는 것.
김 대변인은 이례적으로 구체적 사실들을 논박한데 대해 “비밀이나 미신고, 기만 이런 내용들이 북미 간에 대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 대화를 가로막고 협상 테이블이 열리는 것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말씀을 드리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 대변인은 “북미 간에 비핵화 과정에서 필요한 조처들”에 관해 “미국의 상응된 조처가 뭐가 나올 수 있는지 현재 북미 간에 그 문제에 협상이 필요한 단계”이고 “핵 시설의 추가 공개, 그 문제도 포함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