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폼페이오, 30일 뉴욕에서 만찬 회동
폼페이오,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전념”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북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30일(이하 현지시간) 주유엔 미국 차석대사의 관저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만찬 회동을 가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트윗을 통해 “오늘밤 뉴욕에서 김영철과 훌륭한 실무만찬을 가졌다”면서 “스테이크, 옥수수, 치즈가 메뉴”라고 알렸다. 김 부위원장과 앤드류 김 CIA 코리아임무센터장, 북한 측 통역 등 4명이 화기애애하게 식사하는 사진을 올렸다.
이에 앞서, 마크 놀러 <CBS> 백악관 출입기자는 폼페이오 장관이 뉴욕 시내 한 호텔에 도착한 사진과 함께 김영철 부위원장과 만찬 회동을 할 것이라는 트윗을 날렸다.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뉴욕발 <AFP통신>은 두 사람이 유엔본부 근처 건물에서 오후 7시부터 만찬을 함께 했다고 보도했다. 김 부위원장과 폼페오 장관은 31일 다시 만나 ‘6.12 북미정상회담’ 계획을 확정한다.
31일자 <로이터통신>은 ‘90분 만찬’ 직후 기자들과 만난 폼페이오 장관은 “훌륭했다”는 소감을 밝혔다고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31일 오후 2시 15분(한국시간 6월 1일 새벽 3시 15분) 뉴욕 팰리스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 부위원장과의 회담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다.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30일 트윗을 통해 검은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서류가방을 든 폼페이오 장관의 뉴욕 도착 사진을 공개했다.
뉴욕행 직전 트윗을 통해,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 정상회담을 협의하기 위해 뉴욕에서 김영철과의 회담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한반도 비핵화(CVID)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측은 북미정상회담 공동선언문에 ‘CVID가 명기되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이날 오후 김영철 부위원장이 뉴욕 JFK국제공항에 도착했다고 알렸다. 2000년 10월 조명록 차수 이후 미국을 방문한 북한 측 최고위 인사라고 강조했다.
새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김영철-폼페이오) 대화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은 “우리는 6월 12일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예상하고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31일자 싱가포르 <더 스트레이츠 타임스>는 전날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에서 조 해긴 미국 백악관 부비서실장을 만나 정상회담의 격식(logistics)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카펠라호텔은 미국대표단의 숙소이고, 김 부장은 풀러턴호텔에 묵고 있다.
(추가, 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