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남북정상회담 만찬 음식, ‘민족의 봄’

2018-04-25     조정훈 기자

오는 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린다. 남북 정상들은 오전부터 만난 뒤, 회담 등에 이어 만찬을 함께한다.

이번 환영 만찬 음식은 평화와 통일을 위해 애쓴 이들의 뜻을 담은 재료로 마련된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주메뉴로 옥류관 평양냉면을 북측에 제안했고, 북측이 이를 받아들였다.

북측은 옥류관 냉면을 제공하기 위해 평양 옥류관의 수석요리사를 행사 당일인 27일 판문점으로 파견한다. 옥류관의 제면기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 설치한 뒤, 통일각에서 갓 뽑아낸 냉면은 만찬장인 평화의 집으로 바로 배달돼 평양 옥류관의 맛을 그대로 살릴 예정이다.

남북 정상들이 함께 맛볼 음식을 사진으로 소개한다.

▲ 디저트 망고무스 '민족의 봄': 추운 겨울 동토를 뚫고 돋아나는 따뜻한 봄 기운을 형상화한 디저트로 붐꽃으로 장식한 망고무스 위에 한반도기를 놓아 단합된 한민족을 표현하고 단단한 껍질을 직접 깨트림으로 반목을 넘어 남북이 하나됨을 형상화함.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디저트 망고무스 '민족의 봄': 추운 겨울 동토를 뚫고 돋아나는 따뜻한 봄 기운을 형상화한 디저트로 붐꽃으로 장식한 망고무스 위에 한반도기를 놓아 단합된 한민족을 표현하고 단단한 껍질을 직접 깨트림으로 반목을 넘어 남북이 하나됨을 형상화함.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스위스식 감자전: 삭힌 감자가루로 만든 스위스식 감자전으로 김정은 위원장이 유년 시절을 보낸 스위스 뢰스티(스위스식 감자요리)를 우리식으로 재해석.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신안 가거도의 민어해삼편수: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향인 신안 가거도의 민어와 해삼초를 이용해 편수로 만듦.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부산 달고기구이: 부산의 대표적인 생선인 달고기 요리는 유럽에서도 고급 생선으로 분류되며 북한 해역에서는 잡히지 않는 고기로 알려져 있음. 부산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문재인 대통령의 기억과 유럽 스위스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김정은 위원장의 기억이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음식.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서산 목장의 한우부위별 구이: 고 정주영 회장이 소떼를 몰고 올라가 유명해진 충남 서산목장의 한우를 이용해 만든 숯불구이.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김해 봉하마을 쌀과 DMZ 산나물로 만든 비빔밥 그리고 쑥국: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 김해 봉하마을에서 오리농법 쌀로 지은 밥과 우리 민족의 대표적 봄나물 '쑥'으로 만든 된장국.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도미찜과 메기찜: 도미는 대표적인 잔치 음식재료로 좋은 날 귀한 음식을 준비하는 우리 민족의 마음을 담은 요리, 메기는 한반도 어디에서나 사는 민물어종으로 우리 민족의 기억과 내일을 염원하는 소망을 담아 준비한 메기찜.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문배술: 고려시대 이후 천년을 이어오는 문배술은 중요무형문화재 제 86-가 호이자 대한민국 식품명인 7호. 문배술의 고향은 평안도이나 지금은 남한의 명주로 자리잡고 있다. / 면천 두견주: 충남 당진시 면천면에서 진달래 꽃잎과 찹쌀로 담근 향기 나는 술.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통영 문어냉채: 고 윤이상 작곡가의 고향 남해 통영바다의 문어로 만든 냉채.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
▲ 백두대간 송이꿀차와 제주 한라봉편: 백두대간의 송이버섯과 제주의 한라봉을 사용한 차와 다과. [사진-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