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23일 도쿄서 '강제징용시설 유산 등재' 막판 조율
한.일이 23일 오후 도쿄에서 '조선인 강제징용시설이 포함된 일본 근대산업혁명시설 유산 등재' 관련 협의를 개최한다. 21일 한.일외교장관회담에서의 '큰 틀 합의'에 따라, 후속 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21일) 양국 외교장관은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에 대해서도 세계유산위원회의 책임 있는 위원국으로서 양국이 신청한 유산들의 등재를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며 "이에 따라 최종문 교섭대표는 금일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측 교섭대표와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양측은 앞으로도 세부사항 협의를 위해 면담, 이메일, 전화통화 등을 통해 수시로 비공개 접촉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최종문 대표와 일본측 신미준 대표는 이날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신청한 근대산업혁명시설 23곳 중 군함도를 비롯한 7곳에 대해서 '강제노동' 사실을 반영하는 구체적 표현과 형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는 방문자용 책자에 '강제징용 경위'를 기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알렸다.
21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첫 방일, 22일 한.일 정상의 '수교 50주년 기념 리셉션' 교차 참석 등으로 한.일 정상회담 개최가 기시권에 들어온 것과 관련, 노 대변인은 "성공적인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측이 요구하는 여건'에 대해서는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있어 우리 국민과 피해 당사자인 할머님들, 국제사회가 납득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마련되어야 되겠다는 입장"이며 "1965년 이래로 일본 내각에서 채택되어 온 역사 인식이 그대로 계승되어야 되겠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오는 8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종전 70주년 담화'를 보고 중국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동의하면, 그 계기에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한다는 게 박근혜 정부의 구상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