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위안부 건너뛰고 얼렁뚱땅 한.일관계 정상화' 우려

2015-06-22     이광길 기자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인 22일, 야권은 일본군'위안부' 문제 등 근본적 현안을 건너뛰고 얼렁뚱땅 관계 정상화 수순을 밟아서는 안된다고 박근혜 정부에 경고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한일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냉랭하다"면서 "일본 정부에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이하여 양국 갈등의 핵심인 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등 과거사 문제를 인정하고 사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전후 70년 담화문에 단순히 '반성'만 하고 얼렁뚱땅 넘어가는 수준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아베 일본 총리에게 경고한다"고 못박았다.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분명한 태도가 양국 갈등을 해소하고 얼어붙은 한일관계를 정상화하는 길"이라는 인식이다.

김 대변인은 "대일 외교에 대한 우리 정부의 기준 없는 태도와 방관적 자세도 발전적인 양국 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이 아닐 수 없다"며 "한일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과거사문제와 역사왜곡, 종군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분명한 매듭을 짓는 토대 위에서 양국 관계가 진전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이해서 대한민국 한일 대일 외교가 굴욕외교로 가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 참으로 분노와 개탄을 금치 못 한다"며 전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만나 '강제징용시설'이 포함된 일본 근대산업혁명시설 세계유산 등재 문제에서 타협한 것을 비판했다.

정의당 문정은 대변인은 한.일 정상이 수교 50주년 행사에 교차 참석하기로 한 것은 일단 긍정적이나 "이 모든 일을 마냥 우호선린의 차원에서 환영 할 수만은 없는 것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역진적 태도가 여전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오늘의 행보가 의미를 가지려면 오는 8월 15일 아베 총리의 일본 패전 70년 담화에서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 과거와는 다른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아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양두구육식의 기만으로 그치고 말 것"이라고 짚었다.

나아가 "수교 '정상화'라는 단어에 매몰되어 (정부가) 할 말을 하지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 이 상황은 일관적이지 못한 태도를 보인 우리 정부의 책임도 분명히 있다"며 "역사의 산 증인인 강제징용 피해자, 위안부 할머니들이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고 있"는 데 "과거가 잊혀지는 것을 방관하고 있어서는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했다.

새누리당 김을동 최고위원도 "한일관계 완전한 회복은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한 반성과 사죄가 선행돼야만 가능 할 것"이라며 "아베 총리는 종전 70주년을 맞아 8월에 발표할 담화가 양국 갈등 해결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일간 군사협정 체결 움직임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