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상봉 29일 실무접촉 사실상 무산

정부 "유감, 기다려보자"..서해 사격훈련 영향미친 듯

2014-01-28     조정훈 기자

정부가 북측에 제안한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29일 판문점 실무접촉이 사실상 무산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북측이 오후 4시 판문점 연락관 연장근무를 통보한 뒤, 오후 6시10분경 전달할 내용이 없으니 철수하자고 연락이 왔다"고 밝혔다.

당초 북측이 판문점 연락관 연장근무를 제안, 앞서 정부가 제안한 다음달 17일부터 22일까지 금강산에서의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29일 판문점에서의 실무접촉에 화답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북측이 연락관 철수를 통보해 사실상 실무접촉이 무산됐다.

이에 정부는 입장을 발표, "남북이 이미 이산가족 상봉재개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측이 이같은 태도를 보이는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표명했다.

그러면서 "연로한 이산가족들은 헤어진 가족과 상봉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북측이 우리가 편리한 대로 상봉날짜를 정하라고 한 만큼, 우리가 제시한 일정을 수용하고 접촉에 조속히 응할 것"을 촉구했다.

북측이 정부의 제안에 일단 불응한 배경은 이날 오후 군 당국이 실시한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북한 국방위원회 서기실은 지난 27일 청와대 안보실장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해상사격훈련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으나, 군 당국은 이를 일축, 서북도서 해상 사격훈련을 강행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정책기획관 명의로 북측에 전통문을 발송, "금번 해상 사격훈련은 우리 영해에서 정례적으로 실시하는 정당한 훈련으로, 이로 인한 이산가족 상봉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통일부는 북측이 정부의 제안에 불응한 데 대해, 일단 기다려보겠다는 입장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일단 기다려보자는 입장이다. 내일 오전까지 기다려보겠다"면서 "연장근무를 통보한 뒤 철수하자고 한 사례가 없었다. 북측이 내부적으로 아직 정리를 하지 못한 것 아니겠느냐. 내일은 어쨌든 답이 오리라 본다"며 신중론을 폈다.

이 당국자는 실무접촉 무산 이후 일정에 대해, "제일 중요한 것은 상봉날짜에 북한이 어떤 입장이냐"라며 "협의방법은 실무접촉인지 연락관 접촉인지는 북측의 답이 와 봐야 안다. 북측이 실무접촉을 수용하면 그때 날짜를 다시 논의할 수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측이 실무접촉을 수용할 경우, 이르면 남측의 설 명절 시작일인 30일, 늦어도 다음달 3일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6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북측에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제의했으며, 일단 거부입장을 밝힌 북측은 24일 오후 수용입장을 밝혔다.

이에 정부는 지난 27일 대한적십자사(총재 유중근) 명의로 북한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위원장 강수린) 앞으로 △다음달 17-22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해, △29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고 제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