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회과학원이 해방 이후 북한 사회과학 연구분야의 성과를 집대성한 총서 형식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을 오는 2012년까지 총 1,500여 권을 목표로 편찬, 발행 중에 있다. 이 학술집은 ‘철학편’, ‘경제학편’, ‘법학편’, ‘언어학편’, ‘문학편’, ‘역사학편’, ‘민족고전학편’, ‘민속학편’, ‘고고학편’, ‘백두산3대장군 혁명역사편’ 등 총 10편으로 이뤄졌다.

북한의 사회과학분야에서 이러한 ‘총서’ 형식의 도서가 편찬 발행되기는 처음이며, 특히 학술집에 실린 내용의 대부분이 최초로 공개되는 연구 성과들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발행기관 측은 학술집의 발행이 앞으로 내부의 사회과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하는 동시에 해외 등에서 북한을 폭넓게 연구, 이해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선사회과학학술집’은 북한 사회과학원 전용출판사인 사회과학출판사에서 발행하고 있으며, 조선출판물수출입사와 중국 베이징선영과무유한공사가 이를 후원하고 있다. <통일뉴스>에서는 매주 토요일에 이들 책의 일정 분량을 개요-내용요약-차례 순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이 연재의 주요 내용은 중국 베이징선영과무유한공사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 편집자 주

조선사회과학학술집 제175권(력사학편)
《조선강점시기 일제의 조세수탈》


필자: 김오현
출판사: 조선사회과학원 사회과학출판사
규격: 210×145㎜
페이지 수: 219페이지
제본: 양장
출판년도: 2011년
ISBN: 978-9946-27-625-0

내용소개:

이 도서에는 일본제국주의자들이 조선을 강점한 다음 역사에 유례없는 야만적인 식민지통치를 실시하여 우리 민족을 야수적으로 억압하고 착취하였으며 조선의 재부를 약탈한데 대하여 자료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도서에서는 일제가 강점 전기간 우리 민족에게 과중한 조세를 부담시켜 막대한 규모의 조세를 징수함으로써 식민지약탈을 강화한데 대하여서와 그 결과 조선의 사회경제 발전이 저애되고 우리 민족의 처지가 극도로 악화된데 대하여 연대별로 구체적인 사료들을 제시하여 깊이 있게 분석하고 있다.

도서는 조선에서 일제가 감행한 식민지약탈 만행의 진상을 옳게 인식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조선사회과학학술집 제176권(민속학편)
《조선의 민속과 정서생활》


필자: 교수 박사 문성렵, 박사 부교수 조대일, 박사 부교수 백옥련
출판사: 조선사회과학원 사회과학출판사
규격: 210×145㎜
페이지 수: 357페이지
제본: 양장
출판년도: 2011년
ISBN: 978-9946-27-225-2

내용소개:

이 도서에는 우리 민족의 오랜 생활과정에 이루어지고 대대로 계승 발전되어 오고 있는 고유하고 우수한 민속과 아름답고 고상한 정서생활에 대하여 통속적으로 서술되어있다.

도서에서는 민족옷과 몸단장, 민족음식과 식생활, 살림집과 주택생활, 가정생활, 민속명절과 놀이, 민족음악과 민속무용, 예의범절의 측면에서 조선의 민속과 정서생활을 알기 쉽게 해설하고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 상식자료들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도서는 우리 민족의 민속과 정서생활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가지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조선사회과학학술집 제177권(고고학편)
《고고학연구론문집 3》

필자: 박사 부교수 서국태
출판사: 조선사회과학원 사회과학출판사
규격: 210×145㎜
페이지 수: 293페이지
제본: 양장
출판년도: 2011년
ISBN: 978-9946-27-362-4

내용소개

이 논문집에는 《조선의 신석기시대》, 《우리 나라 고대 및 중세요업기술발전사연구》, 《중세 우리 나라 읍성에 대한 연구》 등 3건의 연구논문이 실려 있다.

논문 《조선의 신석기시대》는 신석기시대 문화의 특성과 시기구분, 신석기시대의 유적유물, 신석기시대 생활의 발전, 신석기시대의 생활풍습과 사회관계의 변화에 대하여 고고학적 자료를 가지고 논증하였다.

논문 《우리 나라 고대 및 중세요업기술발전사연구》는 우리 선조들의 요업지식의 기초, B.C. 30세기~A.D. 9세기 요업지식과 기술의 발전, 10~14세기 요업기술의 발전, 15~19세기 초엽의 요업기술의 발전 등 4개장 13개절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 민족 고대 및 중세요업 기술발전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고학적으로 고찰하였다.

논문 《중세 우리 나라 읍성에 대한 연구》는 중세 도시건설에서 성의 지위, 중세 우리 민족에서 읍성건설, 읍성의 전면적 도입, 읍성의 구조 등을 고고학적, 문헌자료와 결부하여 고찰하였다.

도서는 우리 민족의 신석기시대, 요업기술 발전역사, 중세 우리 민족 읍성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