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가 끝나자마자 정부가 천안함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 가져갔습니다. 다소 의외였습니다. 대북 제재에는 이밖에도 대북 심리전 재개와 서해해상 무력시위도 예상돼 있었습니다. 그런데 선거 후 대북 전단 살포와 확성기 방송을 보류하기로 하고, 또 한미 연합 대규모 해상훈련도 미국의 요청으로 연기됐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그런데 왜 천안함 문제만은 그렇게 서둘러 안보리에 회부했을까요?

이왕 뺀 칼 무라도 자르자는 심보인가요? 그런데 시간이 흐를수록 천안함 문제를 놓고 세간의 인심이 흉흉해지고 있습니다. 북한은 천안함 사건과는 무관하다면서, 안보리 회부는 용납할 수 없는 엄중한 도발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국내에서는 ‘1번’, ‘어뢰 추진체 잔해’, ‘쌍끌이 배’ 등등에 대해 의문점이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국 이번 선거에서 과도한 북풍은 역풍을 맞았습니다.

‘천안함 외교’도 속빈 강정이 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초지일관 천안함 문제에 의문을 제기해 왔습니다. 러시아의 천안함 조사단도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피델 카스트로는 미 해군 특수부대가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 주둔을 유지하고자 천안함을 격침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나마 믿었던 미국도 시각이 바뀌고 있습니다. 미국은 유엔 안보리에서 새로운 결의를 채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한미공조에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정부가 천안함 문제로 안팎에서 곱사등이가 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충분히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하지 않은 채 발표를 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선거 일정에 맞춰 서둘렀습니다. 나아가 내부문제를 외부문제로 가져갔습니다. 그것도 대놓고 안보리에서 제재를 해 달라는 것입니다. 국민이든, 민족이든, 국제사회든 시선이 고울 리 없습니다. 서두른 안보리 회부가 부메랑이 되고 있습니다. 천안함 침몰 진상규명 문제는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