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수로 유명한 박종화(46) 시인의 서예산문 '나의 삶은 커라'를 연재한다. 전남 함평의 한 산골마을에서 올라오는 박 시인의 산문과 서예작품은 매주 토요일 게재된다. / 편집자주



오늘은 마지막 남은 쌀로 밥을 지어 먹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번 한 달 동안 쓴 돈이 6800원 밖에 안 되네요. 읍내에 나가 진통제 사고 작업에 필요한 문구류 몇 가지 산 것이 이 달의 가계비 지출의 전부입니다. 작업하느라 움직일 겨를도 없이 산속 작업실에서만 있다보니 돈 떨어지고 쌀 떨어진 줄도 모르고 살았던 한 달이 되고 말았습니다.

밥을 다 먹고 상을 치우려는데 평소에 가깝게 지내는 산 아래 동네의 아저씨 한 분이 밭에서 일하다 말고 고추 몇 개와 막걸리 한 병을 들고 찾아옵니다. 밥 먹느냐면서 당신도 한 그릇을 청하더군요. 밥이 없는데 어쩌느냐며 라면보다 빨리되는 죽이 있으니 드시라고 마지막 남은 나의 비상식량인 죽을 내어 끓여 드렸지요. 검은콩 검은깨 검은 쌀을 갈아 만든 군대로 말하면 비상전투식량인 거지요.

내일은 또 어디서 일용할 양식을 구할까 걱정이군요. 가난한 예술장이 아니랄까 봐 이런 날이 가끔씩 찾아오네요. 남의 밭에 가서 뭐라도 캐어가는 사람들의 심정을 알 것 같기도 하고 차라리 징역이나 살았으면 좋겠다는 어느 노숙자의 푸념에 공감도 가고 그렇고 그런 지랄 같은 날이네요.

텅 빈 쌀통을 알 리가 없는 어르신은 고맙게도 죽을 맛있게 먹어줍니다. 막걸리 한 사발을 곁들인 채 숟가락을 움직이는 촌로의 모습을 보고 있으려니 숟가락 길이의 반 깊이만도 못한 밥그릇이 무슨 큰 수렁처럼 보입니다. 그 수렁이 십리 길 낭떠러지 깊이로 느껴지는 무기력한 오후입니다.

▲ 박종화 作 '밥'(350*600) "밥의 수렁 깊다"

지식인일수록 매와 밥에 약하다고들 합니다
희멀건 피부에 매질을 하면 거짓도 진실이라 말하고
풍요로운 쌀밥을 주면 사람도 팔아먹는
나약한 지식인의 기득권을 빗대는 말입니다
머릿속의 지식보다 실천하는 근육이
절실히 필요한 때입니다


작품설명 : 아래 [ㅂ]에는 큰 사발 그릇을 형상화 하고 작은 글씨에는 [깊]을 깊게 써서 깊음을 강조 하였습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