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역사박물관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등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60주년을 맞아 학술세미나를 열었다. [사진-통일뉴스 고성진 기자]
학계에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이 1919년에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있다고 주장하며, 최근 출시된 '뉴라이트' 대안교과서의 역사인식을 비판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15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신문로 역사박물관 강당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등 3개 단체들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60주년을 맞아 학술세미나 '대한민국 건국은 1919년이다'를 열었다.

박성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는 대한민국의 건국연대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대안교과서의 내용들을 거론하며 조목조목 비판을 가했다.

박 교수는 "그동안의 한국 좌익 역사관은 일련의 민중사학자들에 의해 주도된 역사왜곡이었고, 요즘에 등장한 우익사관은 '뉴라이트'라고 자칭하는 일단의 경제학자들이 주도하는 역사왜곡이다"면서 "대한민국의 건국연대 문제는 '뉴라이트'의 대안교과서와 밀접히 관련된 문제이다"고 발제의 논지를 분명하게 밝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vs 한성정부, "대한민국 정통성은 임시정부에서 우러나온 것"

박 교수는 "정통성의 문제는 남북이 갈라진 이상 통일할 때 문제가 될 것이고 우리는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정통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1919년 3.1독립운동 이후 국내외의 독립정부 3부가 통합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라는 정식명칭이 생기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정통성은 이 정식명칭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립정부 3부는 블라디보스토크의 '대한국민의회', 중국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13도 대표가 서울에 모여 조직된 '한성정부'를 일컫는다. 

그는 "대안교과서는 대한민국의 정통성이 한성정부에서 기원하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으나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가장 뒤에 출현한 한성정부의 정통성을 바탕으로 성립된 정부가 아니었다"면서 "대한민국의 법통성은 한성정부에서 우러나온 것이 아니라 3부 통합의 주체인 상해 임시정부에서 우러나온 것이다"고 바로잡았다.

또 "대안교과서는 한성정부를 대한민국 정부의 법통성의 기원으로 전제하였기 때문에 3부를 통합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상해정부니 중경정부니 하면서 마치 일제 보안당국처럼 국호를 빼고 그 대신 지명을 붙여 부르고 있는데 이는 상식에 어긋나는 호칭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은 정부 수립 당시에 손문의 중화민국 임시정부에 의해 승인되었고 뒷날 드골의 임시정부와 미국의회에 의해서도 승인되었다"며 "임시정부를 27년간이나 유지한 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었다. 이렇게 자랑스러운 역사를 왜 우리가 없애려 하는가"라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현 대한민국의 모태임을 강조했다.

이어 "1948년을 대한민국 건국으로 보는 견해는 일제강점기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재와 항일독립사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내리깎는 사관에서 나온 것"이라면서 "한국인은 더 이상 남의 학설에 눈이 멀어 자국사를 왜곡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뉴라이트'의 대안교과서를 비꼬았다.

자주독립 vs 식민지근대화론, "대안교과서, 근대화의 신화에서 깨어나야 할 때"

특히 박 교수는 근현대사에 있어서 중시되어야 할 가치는 근대화가 아니라 자주독립이라고 주장하면서 민족주의 관점의 역사 인식을 피력했다.

그는 "대안교과서는 한 마디로 말해서 식민지근대화론의 대표적인 교과서"라고 혹평한 뒤 "식민지근대화론은 '신판 제국주의이론'에서 나온 사생아 개념으로서 전후의 유럽과 일본이 이 이론을 구세주처럼 매우 선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쌀은 일본에 수탈된 것이 아니라 일본으로 수출되었으며 그에 따라 일본인을 포함한 한반도 전체의 소득은 증가하였다. 쌀을 대신하여 만주에서 조와 콩이 대용식으로 수입되었다. 이리하여 1890~192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키가 1~2센티 커진 것도 생활수준의 개선을 의미한다." (대안교과서 내용 중 일부)

그는 대안교과서의 내용을 거론하며 '친일기사'라고 못박고, 이 교과서가 일본의 식민 지배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데에 거듭 비판의 날을 세웠다.

박 교수는 "1930년대 이후의 일제하 경제성장은 일본의 제국주의 팽창을 위한 전시 경제체제 하에서 이루어진 것임으로 전쟁이 끝남과 동시에 무너지고 마는 것이었다"면서 "결국은 36년간 일본의 식민지 통치가 끝났을 때 한국인의 소득은 식민지가 되었을 때보다 낮아졌고 그나마 그것도 불평등하게 분배되어 초근목피로 생활하게 되었다"고 대안교과서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지금은 근대화의 한계가 드러난 시대"라며 "근대화의 신화에서 깨어나야 할 때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역사 특히 근현대사 속에서 건져내야 할 귀한 보물은 근대화라는 이름의 서구인이 아니라 완벽하게 한국화 된 한국인인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