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발 두 개의 뉴스가 세인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하나는 현지시간 11일 미 국무부가 공식 확인한 북.미 6자회담 수석대표간 제네바 회동(3.13)이며, 다른 하나는 현지시간 12일 백악관이 공식 발표한 한.미 정상회담(4.18~19)입니다.

김계관 북 외무성 부상과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간 제네바 회동으로 그간 이행이 지체됐던 '10.3합의'에 규정된 각측의 의무, 즉 '불능화.신고(北)'와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등(美)'을 둘러싼 해법이 도출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특히 신고 관련 최대 쟁점인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과 '시리아로의 핵이전설'에 대해, 미 국무부도 힐 차관보도 '형식보다는 완전한 신고라는 실질이 중요하다'며 다소 유연한 입장을 피력했습니다. 이번 회동이 '북한 측 요청에 따른 것'이라는 점도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아울러 다음달 미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열립니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 후 해외 방문이기도 합니다.

부시 대통령은 '한국의 새 대통령과 아시아.태평양 역내외에서 자유와 안보, 번영 등 양국이 공유하는 가치를 진전시킬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회담을 환영했다고 합니다. 백악관 측은 또 '한미FTA' 문제를 토의 의제 첫머리에 찍어 올렸습니다. 

일련의 움직임으로 볼 때, 임기말에 처한 부시 행정부가 남과 북을 상대로 기존에 추진했던 외교적 작업을 마무리짓는 수순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즉, 북한과는 지체된 '10.3합의' 이행을 완료하고, 한국과는 '한미FTA협정' 비준을 완료하여, 임기 중 외교 성과를 남기고자 분주하게 움직이는 것입니다.

반면, 이명박 새 정부의 행보는 한가로워 보이기조차 합니다. 출범 초기라고는 하지만 새 정부 외교안보통일 책임자들은 6자회담이나 남북관계 상황에 집중하기 보다는 지난 정부의 외교 및 남북관계 성과를 깎아내리고 차별화하는 작업에 매달려 있습니다.

이들에게 한반도 절반의 운명을 맡겨도 되는지 우려됩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