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심(재일본조선청년동맹 도쿄강동지부 문화선전부장)

 

<조선학교> 연재를 시작하며

2005년 <에다가와 조선학교 재판>으로 한국사회에도 일본 내 조선학교가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최근의 다큐멘타리 영화 <우리학교>는 보는 이들의 눈시울을 적시며 한국사회에 참신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지난 5월엔 <에다가와 조선학교 지원모금>이 결성돼 대중적 모금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한국사회가 조선학교에 접근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에게 잊혀진 60년의 역사, 700만 재외동포의 삶과 역사가 있다. 그 가운데 우뚝 솟은 탑이 있다면 그것은 조선학교이다. 통일을 비롯, 한국사회가 큰 그림을 그리며 바른 사회를 지향해 나간다면 조선학교는 반드시 우리가 이해하고 껴안고 가야 할 곳이다.

조선학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리의 인식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해 3부에 걸쳐 <조선학교>를 기획 연재한다. 1부 <한국사회와 조선학교>, 2부 <조선학교가 걸어온 길>, 3부 <일본 안에서의 조선학교>를 8월 말까지 총 10여회에 걸쳐 <통일뉴스>와 <민중의 소리>에 공동으로 연재하고 또한 조선학교를 다닌 이들의 생생한 목소리도 함께 전달하고자 한다. 조선학교에 초점을 맞춘 한국사회내의 첫 기획일 것이다.

<내가 다닌 우리학교>

<내가 다닌 우리학교>란 제목으로, 1940년대부터, 50,60,70,80,90년대에 초중급학교를 다닌 6명과, 현재 다니고 있는 학생의 글을 차례로 매주 월요일에 연재한다. 구체적인 한 개인을 통해 당시 조선학교의 생생한 모습과 조선학교의 역사적 흐름 등이 자연스레 전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재의도와는 벗어나는 글이라 해도 맞춤법, 띄어쓰기 등을 포함, 원문에 전혀 손을 대지 않고 게재할 것이다.

그간 70년대 학생이었던 김난월 님의 기고글을 마지막으로 잠시 중단됐던 연재를 90년대  도꾜제2학교(에다가와학교)와 도꾜중고급학교를  다녔던 정경심 님의 글 게재를 끝으로 마무리한다. 예정대로 연재가 순탄하게 진행되지 못한 점 사과드린다. /에다가와조선학교지원모금, 통일뉴스 

1기생 홍한이, “제일 행복했던 시기”
<연재 조선학교> 내가 다닌 조선학교 1

백령자, "통일된 강산에서 다시 만나자!"
<연재 조선학교> 내가 다닌 조선학교 2

윤수지, "조고의 ‘황금시대’ 기틀을 마련"
<연재 조선학교> 내가 다닌 조선학교 3

김난월, "'인간력'을 키워준 통학길"
<연재 조선학교> 내가 다닌 조선학교 4

정경심, "민족교육의 화원 속에서"
<연재 조선학교> 내가 다닌 조선학교 5



이역에서 나서 자란 우리 조국의 푸른 하늘 우러러 
민족교육화원속에서 참다운 삶의 길 찾았네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내 젊은 청춘을 바치리라
오늘도 래일에도 이 마음 꽃피우리...

이 노래는 우리가 학생시절부터 계속 즐겨 부르던 노래이며 현재도 동창생이 결혼할때마다 반가운 식장에서 부르기도 하는 노래입니다.

 

▲ 에다가와 초급학교에서 필자 정경심. [사진 제공 - 정경심]

<화원>이란 말그대로 우리 학교는 동급생들과 선배후배들, 선생님들, 동포들의 따뜻한 사랑의 꽃이 만발한 사랑의 요람이였습니다.

이역에서 나서자랐지만 조국의 하늘을 우러러 조선사람으로서 민족을 위하여 떳떳이 살아나갈 길을 찾게 된 것은 바로 우리 학교가 있었기때문입니다.

세월이 흐르고 세대가 변해도 일본각지에 우리 학교가 있고 그 두리에 동포사회가 존재하는것은 결코 자연히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우리 학교와 동포사회를 위해 한몸바치는 동포들이 있고 그들이 다 우리 학교에서밖에 배우지 못하는 귀중한것을 갖고있기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에다가와라는 일본에서도 우리 동포들이 많고 민족애, 동포애로 넘친 특수한 지역에서 나서 자랐으며 애국지성이 강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향으로 도꾜제2학교(에다가와학교), 도꾜중고급학교를 거쳐 조선대학교를 졸업하여 지금은 에다가와지역동포사회를 위하여 일하고있습니다.

제가 에다가와학교에 입학한 해 마침 독일의 베를린 외벽이 무너지고 정세가 아주 격동된 시기였다는것을 기억하고있습니다.

그후 쏘련이 붕괴되고 사회주의나라가 없어져가면서 총련이 운영하는 우리 학교는 학생수의 감소, 재정난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을것입니다.

 

▲ 조선대학교 동창 여성동무들과 함께 한 기념촬영. [사진 제공 - 정경심]

특히 90년대는 우리 나라와 일본의 관계가 최악으로 악화한 시기라서 집에 돌아가면 TV에서 나오는 싫은 소식, 조선인과 한국인을 배타하는 사회풍조가 횡행하고 우리의 민족의상인 치마저고리를 통학길에서 칼질하는 가슴아픈 사건까지 련달아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우리 아버지, 어머니들은 우리 학생들에게 민족을 안겨주기 위하여 일본의 불경기때문에 경제형편이 어려운 속에서도 우리들을 학교에 보내주시였던것입니다.

그러나 그때 그런 고마움을 학생인 우리가 인식하고있었던것은 아닙니다.

학교에 가기가 너무 재미있었고 친구들이 너무 사랑스러워 그저 놀고 웃으면서 지내던 기억밖에 없습니다.

 

▲ 조선대학교 시절 함께 한 학생밴드 멤버들과 오랫만에 만났다. 2006년12월. [사진제공 - 정경심]

조선사람이 살기에 너무 어려운 일본사회속에서도 자신을 조선사람으로서 부정하지 말고 살아올수 있었던것은 바로 우리 학교에서 말과 글, 우리의 력사, 우리의 문화와 풍습을 배웠기때문이고 친구들이 있었기때문입니다.

제가 우리 학교에서 얻은 가장 빛나는 보물이 <우리 친구>입니다.

우리 친구들은 조선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일본대학교. 일본회사에서 사회생활을 하게 되면서도 어려울때면 친구들을 찾고 기쁠때도 우리 친구들을 찾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역땅 일본에서 살아가지만 민족과 함께 살아가려는 우리 미더운 친구들. 민족교육의 화원에서 함께 자란 우리 친구들과 함께 앞으로도 저는 살아나갈것입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