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공동선언 발표 7돌 기념 민족통일대축전'이 14일부터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평양에서 개최된다.

지난 2001년 금강산에서 남과 북, 해외의 민간 대표단이 '6.15공동선언 발표 1주년 민족통일대토론회'를 개최한 이래 민간 차원에서 연례적으로 개최해오고 있는 6.15기념 공동행사는 지난 2003년 사스(급성호흡기증후군)로 인해 남북해외가 분산 개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마다 전민족의 축전으로 성대하게 치러지고 있다.

특히 지난 2005년부터는 남북해외가 한데 어울려 '6.15공동선언실천 민족공동위원회'를 결성함으로써 전민족적 민간통일운동조직이 상설화된 성과를 거뒀다. 또한 민간차원으로만 진행되던 6.15공동행사가 2005년 평양에서 열린 6.15민족통일대축전부터 당국대표단이 참여하는 말 그대로의 민관이 함께 하는 전민족적 통일행사로 거듭나게 되었다.

2005년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당국대표단 단장으로 평양행사에 참석해 노무현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면담하고 남북관계 정상화와 6자회담 진전 등에 합의함으로써 민간공동행사가 전체 정세를 풀어가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여실히 입증해 보였다. 다음해인 2006년에는 북측 김영대 최고인민회의 부위원장이 당국대표단을 이끌고 광주에서 열린 6.15민족통일대축전에 참석해 5.18국립묘역을 참배했다.

한마디로 6.15공동행사는 비록 민간차원에서 시작됐지만 전민족적 대축제요, 남북관계와 정세 발전의 버팀목이자 도약대 구실을 톡톡히 해온 것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번 7주년을 맞아 평양에서 열리는 6.15민족통일대축전에는 당국 대표단이 참석하지 않는다. 지난 3월 제 20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참여를 약속해놓고도 21차 장관급회담에서 남측 당국이 약속된 쌀 차관 제공을 2.13합의에 연계시켜 이행하지 않음으로써 당국대표단 참석이 불발된 것이다. 6.15 7주년 공동행사에 당국대표단 불참은 참여정부의 대북정책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뼈아픈 실책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정세가 어렵고 당국간 대화가 교착되더라도 남과 북, 해외의 민간 공동행사는 이어져왔고, 이번에도 어김없이 열리게 된다. 더구나 남북 당국간 대화를 가로막던 BDA문제의 해결도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6.15민족통일대축전에 임하는 남과 북, 해외 대표단은 민족의 통일과 겨레의 하나됨은 당국에 의해 제도적으로 완성될지라도 그 과정은 우리들의 손으로 이루어간다는 사명감으로 민족 단합과 단결, 한반도 평화와 신뢰구축, 외세배격과 정세에 흔들림 없는 민족공조를 소리높이 외쳐야 할 것이다. 어떤 정세에도 불구하고 남과 북, 해외의 민간대표들이 이같은 하나된 목소리를 내는 것이야말로 우리 민족의 단합된 힘을 내외에 과시하는 가장 뜻 깊은 일이 될 것이다.

더 바람이 있다면 매번의 공동행사의 발목을 잡아왔던 방북 불허자 문제나 북측 참관지 제한 문제 등에 대해서도 보다 진전된 실천들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6.15시대를 만들어가는 민간공동행사 자체부터 기존의 관성과 법제도에 묶여있던 매듭을 스스로 풀고 가야 하기 때문이다.

당국 대표단의 불참으로 다소 위축되고 특별한 이벤트 거리가 없는 일상적 행사로 전락할 위험요소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6.15 민간 공동행사가 남북관계의 버팀목이자 도약대라는 역사적 의미는 결코 작은 것이 아니다. 남북관계 발전에 또 하나의 족적을 아로새기는 6.15민족통일대축전을 기대해마지 않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