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운형(오른쪽)과 밀담을 나누고 있는
박헌영(왼쪽).
잠복돼 있는 서로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좌익정치세력은 3당 합당을 추진하게 됩니다. 3당이 합당을 추진해 광범위한 대중적 기초 위에서 강력한 대중투쟁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합법적 대중정당을 결성한다는 원칙에 합의한 것입니다.     
3당 합동은 공산당에 의해 처음 제기되고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지만, 형식적으로 합당 제안은 인민당이 공산당과 신민당에 제안하는 방식을 택하게 됩니다. 북한의 북조선노동당 창립과정에서 신민당이 제안하고 북조선공산당이 제의를 받아들인 형식을 취한 것과 같은 방식이었습니다. 이것은 합당 과정에서 인민당의 역할을 부각시켜 공산당의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하고 대중적인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입니다.

1946년 8월 3일 조선인민당 위원장 여운형은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박헌영과 남조선신민당 위원장 백남운 앞으로 3당의 합동을 제의하는 서신을 보냅니다. 그 합당 제안문의 요지는 이런 것이었습니다.

"현단계의 민주적 과업은 자주독립의 완수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있다. 이는 민주주의적 세력의 강대화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우리는 건설을 현단계의 과업으로 하고 있는 이상 그 세력을 분산시키고 때로는 무용의 마찰을 가져올 수 있는 정당의 별립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더욱이 반동배들의 이간과 모략을 분쇄하는 의미에 있어서도 우리 민주정당은 별립할 것이 아니라 한 개의 거대한 정당으로 합동되어야 한다고 인정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인민당 중앙집행위원회는 3개당을 일대정당으로 통일할 것을 제안한다."
 
이 제안문을 받은 조선공산당은 8월 4일 하오 중앙위원회를 개최하고, 전적인 찬성을 결의하였으며 5일에는 수락서를 인민당에 보냈습니다. 또한 남조선신민당도 중앙위원회를 열어 3당 합동제의를 찬동한다는 결정을 내리고 8월 7일자로 인민당수 여운형에게 합동 수락문을 보냈습니다.
이렇게 해서 3당 합동은 기정 사실로 되었습니다. 사실 당시 사정으로 볼 때 좌익 3개 정당이 합동해 대중정당으로 거듭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었습니다. 그랬기 때문에 각 당 지도자와 중앙위원 대부분은 적극적인 지지를 보냈던 것입니다.

그러나 막상 3당 합동을 추진해가자 문제가 발생합니다. 우선 3당 합동에 대해 공산당 내에서부터 반발이 일어났습니다. 8월 5일 공산당 내의 반 박헌영계의 간부 6인이 [합동문제에 대하여 당내 동지들에게 고함]이란 성명서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들은 3당 합당과 같은 중대한 문제를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면서 당 대회를 소집할 것을 요구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에게는 `대회파`란 이름이 붙습니다. 반면 박헌영파는 `간부파`라고 불렀습니다.

사실 합당과정에서 공산당 내에서 분열이 일어날 것은 어느 정도 예견되고 있었습니다. 1945년 9월 조공이 재건된 이래 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마다 분열과 대립이 계속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내분은 기본적으로 당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일어난 일이었지만, 그 뿌리는 식민지 시대 공산주의 운동에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특히 당내의 갈등과 대립은 당의 주도권을 쥔 박헌영의 콤 그룹 일파가 반대파를 포섭하려는 노력보다는 배격함으로써 더욱 심화됩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박헌영 일파는 반대파 세력을 설득하고 타협점을 찾으려 노력하기 보다 강력하게 응징하는 방법으로 대응함으로써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듭니다. 8월 7일 박헌영 계열은 반대파를 주도한 이정윤을 제명하고, 김철수, 서중석, 강진, 김근, 문갑송 등 5인을 무기정권시켰던 것입니다. 그러자 반대파는 이에 반발해 박헌영의 정권처분을 `일파중심주의`라고 비판하고 `당 대회 혹은 대표자대회`를 소집할 것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조선공산당의 내분은 심화되고, 하부조직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반박헌영파의 주장은 전북, 경남, 부산지구 등 지방당에서 큰 호응을 받게 되고, 서울 영등포와 소사, 부평 등지의 공산당 간부 177명은 8월 9일 부평에서 열성자대회준비위원회를 개최하고 6인 간부의 성명서에 대한 지지 결의를 하게 됩니다. 
3당 합당을 두고 조선공산당 내에서 분열이 일어나자 인민당과 신민당 내에서도 분열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인민당 내의 분열은 조선공산당 내의 분열과는 다소 양상이 달랐습니다. 인민당의 분열은 합당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합당 방법에 대한 차이였던 것입니다.

인민당의 여운형은 1946년 8월 3일 공산당과 신민당에 합동을 제안하면서 합동 방법과 원칙을 밝힌 바 있습니다. 그 내용은 대략 이런 것이었습니다.

"첫째, 합동의 구체적 추진은 각당 중앙의 최종적 합의에 의한다. 그러기 위해 일정한 준비기간을 두고 각 지방단위 조직에서부터 결의를 통해 전체에서 결당을 한다.
둘째, 인민적 민주주의의 건국과업을 수행하는 단계인 만큼 극소수의 반동분자를 제외한 모든 민주주의자들을 성의 있게 영입해야 한다.
셋째, 당내 민주주의가 발양되어야 하며 각당 별립시의 협애한 기류가 단일당에 파급되어서는 안된다."
(김남식, [조선공산당과 3당 합당], {해방전후사의 인식 3} 참고)

여운형의 주장은 민주주의적이며 합법적인 방법으로 밑으로부터 합당하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인민당 내의 좌파는 무조건 합당을 주장하면서 여운형의 합당노선에 반대합니다. 8월 16일 중앙확대위원회에서 합당 문제를 토의한 결과 48대 31로 무조건 합당을 주장하는 좌파가 약간 우세를 보입니다. 이에 따라 합당을 두고 인민당은 즉각 합당하자는 48인파와 신중하게 합당하자는 31인파로 분열됩니다.

사정은 남조선 신민당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신민당은 공산당에 의해 소수당이 흡수되는 방식이 아니라 민주적 절차에 따라 당대당이 평등하게 합동해야 한다고 주장한 백남운측(반간부파)과 즉각 합당을 주장하는 정노식 등(중앙간부파)으로 분열되었습니다.

이로써 3당 합동을 통해 좌익정치세력을 최대화하고 대중적 기반 위에서 합법대중정당을 건설하려던 시도는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됩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것은 정치지도자의 역량을 판가름하는 시험대였습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