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 종료된 북.미 미사일 전문가회담이 `완전한 합의` 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클린턴 미 대통령의 이달 중 방북 가능성은 일단 어려울 전망이다.

◇ 일괄타결=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미사일에 대한 포괄적인 통제와 미국의 보상을 맞바꾸는 `일괄타결` 을 시도했으나 장거리 미사일 포기에 대해서만 진전을 보았다.

일괄타결 방식이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연구.개발 및 시험발사 포기▶중.단거리 미사일 수출 중단▶배치된 중거리 미사일의 철수 등을 하면 미국이 ▶인공위성 대리 발사▶테러지원국 해제▶대북 식량 및 금융지원 등 조치를 해준다는 것이다.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포기 조건으로 미국이 인공위성을 대리 발사할 때 북한의 기술자가 참여해야 한다고 요구, 한때 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측 수석대표인 로버트 아인혼 미 국무부 비확산담당 차관보는 회담 직후 발표문에서 "위성 대리 발사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고 밝혔다.

아인혼 차관보는 북한의 인공위성 대리 발사 장소로 중국이 타당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5일자 베이징(北京) 항공편을 예약해 놓았다.

양측은 또 북한이 노동1호 및 스커드미사일 등 중.단거리 미사일의 수출을 포기하는 데 대한 경제적인 보상 방안을 논의했다. 북한은 매년 10억달러씩 3년간 현금보상을 줄곧 요구해 왔다. 그러나 미국측은 현금보상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지역을 위협하는 노동1호 등 북한 중거리 미사일의 철수는 절충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자주권 침해를 강하게 주장했다는 것이다.

◇ 클린턴 방북 가능성=이번 회담이 기대에 미흡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클린턴 미 대통령의 방북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됐다.

클린턴 대통령은 당초 이달 중순으로 예정된 브루나이.베트남 방문 때 추가로 방북이 예상됐었다. 미국 내에서도 북한의 인권문제 등 대북 정책에 비판론이 일고 있어 평양행을 결행하기가 쉽지 않을 분위기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도 지난 2일 워싱턴 내셔널 프레스클럽에서 한 기자회견을 통해 대북 정책에 관한 `속도조절론` 을 내놓아 이같은 분위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중앙일보 2000.11.4)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