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주민들은 주거공간의 협소, 욕실미비 등 열악한 주거환경 속에서도 큰 불만없이 살아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우석(徐佑錫. 경제학 박사) 대한주택공사 북한연구팀장은 24일 `최근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북한에서의 주거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불만족하지도 않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말했다.

서 박사는 북한주민들의 이같은 주거만족도에 대해 `각 가구가 똑같은 어려움 속에서 생활하고 있어 비교 대상이 없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에서의 주거불만족 사항으로 ▲난방, 취사연료의 낮은 질과 부족한 공급량 ▲급배수 시설의 미비와 급수량 부족 ▲주거 공간의 협소와 방 수 부족 ▲욕실미비 ▲공동변소 사용 및 시설 낙후 ▲잦은 정전 및 집수리 불가능 등이 꼽혔다.

북한주민이 주택에 입주하려면 `입사증`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주로 배치된 직장에서 발급받게 된다. 이밖에 ▲외화벌이 표창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물 ▲안면관계를 이용, 뇌물을 주고 구입 ▲현금 매입 ▲부모가 살던집 대물림 등을 통해서도 주택입주가 가능하다.

일부 북한이탈주민들은 `빈 땅에 내 힘으로 집을 짓고 당에 헌납한 후 입사증을 받았다`고 증언했다.

주거 수준과 관련, 서 박사는 `평양과 지방도시간에, 그리고 계급과 직위에 의한 사회적 신분에 따라 심한 격차가 발생하고 특히 전기, 상하수도, 난방 등 대다수 주거시설이 전근대적이며 노후화돼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북한의 지역별 주거형태는 크게 영구주택(국가투자로 건설된 아파트와 농촌 문화주택)과 임시주택(전쟁전의 낡은 주택)으로 구분된다.

평양의 경우 영구주택 85%, 임시주택 15% 수준으로 영구주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남포와 개성 직할시는 영구주택 20-40%, 임시주택 60-80%, 일반중소도시는 영구주택 10%, 임시주택 90% 수준으로 파악돼 지방으로 갈수록 임시주택 점유율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연합 2000.12.24)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