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각국은 조지 부시 후보(공화당)의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에 대해 강경한 외교정책을 구사하되 무역을 인권 등 정치적 개혁과 연계시키는 간섭주의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시 정부는 아시아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인 일본과는 전통적인 우호관계를 중시하는 반면 중국, 북한 및 인도 등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되 인권문제 보다는 미국경제나 기업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취할 것으로 아시아 국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호주 일간지 `더 오스트레일리안` 지는 사설에서 "무역자유화 문제와 관련해 부시는 선거 유세때 갈팡질팡했던 고어에 비해 훨씬 희망적"이라면서 "그는 의회에 무역협상에 필요한 신속처리법안을 요구할 것을 약속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또 부시 행정부는 다른 나라들과의 무역협상에서 무역과 인권 등의 여타 문제를 분리함으로써 클린턴 행정부의 전철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존 하워드 호주 총리는 "우리의 무역이익을 증대시킬 것"이라고 말했고 알렉산더 다우너 외상도 "무역자유화 문제와 관련해 긍정적인 기대감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 신문인 `더 힌두`지 역시 "부시 행정부는 무역 문제와 환경 및 노동기준를 연계시키는데 집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분위기는 미국정부가 인권문제를 비판하거나 지원 및 무역을 민주화 문제와 연관시키다 부당한 간섭이라는 비난에 직면했던 동남아시아 지역 전반에서 감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알위 시하브 외무장관은 자신의 집무실에서 가진 `자카르타 포스트`지와의 회견에서 "우리나라가 민주화 과정의 속도를 높이는데 부시 정부가 도와주기를 희망하지만 클린턴 행정부보다 정교한 방법을 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권문제로 로버트 겔바드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대사와 공개적으로 논쟁한 바 있는 시하브 장관은 "우리는 종종 우리나라의 조건을 개선하도록 도와주려는 미국정부의 선의에 대해 곤혹스러워했다"며 "우리는 그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말레이시아의 `뉴스트레이트 타임스`지도 비슷한 어조로 미국의 개입정책을 비난하고 "부시 행정부의 국제적 기준이 우리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의 당선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마하티르 모하메드 말레이시아 총리는 98년 고어 부통령이 자신의 정적을 지지했던 점을 들어 "고어의 패배 소식을 들으니 반갑다"고 말했다.

중국과 관련해서는 부시가 "전략적 동반자"가 아니라 "전략적 경쟁자"라고 선언한 점을 고려할때 중국의 대미무역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지는 "부시의 이런 발언은 우려를 자아낼 소지가 있다"며 "중-미관계가 중대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신문은 또 부시가 클린턴 행정부에 비해 일본과의 관계에 역점을 둘 것이라고 밝힌 점도 중국의 심기를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탕자쉬엔(唐家璇) 중국 외교부장은 15일 베이징(北京)을 방문한 로렌스 이글버거 전 미 국무장관에게 "중-미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만 문제"라며 "현 시점에 중-미 관계는 매우 중요하며 대중 관계 개선을 위한 클린턴 정부의 노력이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부시행정부는 `전통적 적`이었던 북한에 대해 강경책을 구사할 것으로 보이며 최근 인도에 대한 공격적인 태도 이후 파키스탄과는 협조관계를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연합 2000.12.15)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