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남측에 대한) 적개심을 끌어올리기로 한 결정은 몇 달 동안 기어가 중립 모드였던 남북회담을 주행모드로 바꾸려는 정치적 계책일 수도 있다.” 

<CNN>이 9일(현지시각) 분석기사를 통해, 최고존엄을 모독한 대북 전단에 반응하는 건 북한에게 상식이겠지만, 대대적인 궐기대회를 넘어 남북 간의 모든 통신선을 차단하고 나온 데는 이같이 다른 의도가 있다고 추정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이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국내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가운데, 서울에 긴박감을 불어넣으면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조건’에 협력할 것이라는 희망 아래 북한이 한국을 코너에 몰아넣으려 하고 있다고 봤다.  

그는 “(북한은) 문재인 정부가 편안함을 느끼지 않기를 바란다. 그들은 계산된 위기, 통제된 위기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한국과의 관계에서 위기가 필요하지만, 그것은 미국을 직접 끌어들이지 않을 유형”이라고 덧붙였다. 

<CNN>은 “문제는 올해 초 총선에서 기대보다 더 선전하고 나서 문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데다, 문 대통령 지지 세력은 북한의 긴장고조 사이클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고 지적했다. 경제와 코로나19 팬데믹이 당면 현안인 한국에서 북한의 남북 통신선 차단은 주요 의제에 오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란코프 교수는 한국 내에 위기감을 조성하려는 북한의 시도는 “분명한 실패”이나 “좋은 신호는 아니다”라고 봤다. “(기대했던) 반응이 없다면 북한이 도발의 크기와 강도를 늘이기 시작한다는 의미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9일 문재인 정부는 “남북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므로 남북간 합의에 따라 유지되어야 한다. 정부는 남북합의를 준수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통일부 당국자)”는 입장 외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때마다 빠짐없이 열었던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나 관계장관 회의도 열지 않았다. 

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북한의 남북 통신선 차단 발표 관련 질문을 받은 화춘잉 대변인은 “남북은 같은 민족”이고 “가까운 이웃으로서 중국은 일관되게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를 희망한다”고 짧게 답했다.

(추가, 09:42)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