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제징용의 현황과 문제해결을 위한 대전 토론회가 6월 28일 오후 2시, 대전시의회 4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왼쪽부터 전근배(한국노총대전본부 사무처장), 구제군(민주노총대전본부 사무처장), 오광영 시의원, 이희자(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대표), 홍경표(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사무국장), 장재완(오마이뉴스 기자)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대전에서 강제 징용의 현황과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28일 오후 2시 대전광역시의회 대회의실(4층)에서 개최된 토론회에서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이유와 필요성 등이 논의됐다.

▲ 강제징용의 현황과 문제해결을 위한 대전 토론회 좌장을 맡은 오광영 시의원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이날 토론회에서 구제군 민주노총대전본부 사무처장은 ‘우리는 왜 강제징용노동자상을 건립하려 하는가?’라는 제목의 토론을 통해 노동자상 건립 필요성을 호소했다.

구제군 사무처장은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을 준비하면서 많은 분들을 만났다”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가족들 중에 강제징용의 아픔을 가지고 있었고 선뜻 건립기금 모금에 동참해주셨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많은 피해가족들이 그 피해사실을 속 시원히 드러내놓고 말하지 못했다”며, “일제잔재를 청산하자는 것, 피해를 보상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자연스럽기보다는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이어 “강제징용노동자상을 건립하는 것은 이러한 용기를 혼자서 감당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나서 역사를 바로 잡기 위함”이라고 말하며, “이름 없이 억울하게 잊혀져간 분들을 잊지 않기 위해 기억하고, 기록하기 위해 평화의 소녀상이 있는 곳에 노동자상을 세우려 한다”고 밝혔다.

전근배 한국노총대전본부 사무처장은 역사적 맥락에서 일제의 강제 징요 사례들을 소개했다. 전근배 처장은 ‘미스비시’, ‘미쓰이’, ‘아소’, ‘스미토모’ 등을 거론하며 “일본 대기업이 징용에 관련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제징용 피해자 1세대들이 세상을 떠나고 이제 얼마 남지 않은 분들이 남아 일본 정부와 법원을 상대로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며,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시작으로, 일본 정부의 강제동원 전쟁범죄 인정, 공식사죄, 법적 배상, 역사교과서 기록 등 다시는 과거의 일이 되풀이되지 않기 위하여 모든 노력을 다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기자가 ‘대전의 강제징용 피해자 이야기’란 제목으로 토론에 나서고 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장재완 오마이뉴스 기자는 일본 나가사키 미쓰비시 조선소에서 일하다가 원자폭탄 피해를 입은 김한수 할아버지와 하시마(군함도) 탄광에서 죽는 것도 할 수 없었다던 고 최장섭 할아버지를 취재한 경험을 토대로 대전의 강제징용 피해자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풀어나갔다.

장재완 기자는 “제가 만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두 분이 공통적으로 ‘나는 지옥을 봤다’고 말씀하시면서 ‘다시는 그 누구도 지옥을 경험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분들이 젊고 기억이 있을 때 이런 문제를 해결했으면 더 좋았을 텐데, 안타깝게 최장섭 할아버지는 작년에 돌아가셨고, 김한수 할아버지도 지금은 기억이 희미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장재완 기자는 또한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의 활동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780만 명으로 추정되는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자 중 특별법에 의해 피해신고를 신고한 건수는 22만 건에 불과하다”며, “위원회 조사에서 최종 피해자로 인정되어 위로금을 지급받은 강제동원피해자는 대전 2,892명, 세종 60명, 충남 9,333명, 충북 5,07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은 이러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문제를 해결하는 시작일 뿐”이라며, “국가적으로는 특별법제정과 피해자 접수, 진상조사 등으로 첫걸음을 뗐다고 할 수 있으나 대전지역에서는 정부의 피해자접수를 대행했을 뿐, 공식적인 통계자료나 기록은 전혀 남아있지 않다”고 밝혔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이는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홍경표 사무국장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진정한 친일잔재청산의 과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국립묘지법을 개정해,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는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의 묘를 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대표가 ‘태평양 전쟁으로 인한 강제징용 실태’ 제목으로 토론에 앞서 발제를 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토론에 앞서 ‘태평양 전쟁으로 인한 강제징용 실태’라는 제목으로 발제에 나선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이희자 대표는 “지금 노동자상 건립을 하려는 것을 보면서 ‘참 많이 늦었다’고 생각했다”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이 문제를 들고 나와서 할 수 있다는 여러분들의 용기와 의지는 칭찬해줄 수 있고, 도와주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생존자분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며, “그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대신 아버지가 처했을 환경과 그 시대의 고통이 어땠는지를 알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 최낙훈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운영위원장이 토론회에 앞서 강제 징용을 떠난 후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의 행적을 찾아 나섰던 자신의 경험을 증언했다.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최낙훈 운영위원장도 “5년 전에 아버지가 후쿠오카 가이즈마 탄광에서 근무했던 기록을 찾았다”며, “막걸리와 떡 등 음식 준비를 한국 것으로 직접 준비해서 가이즈마 탄광 갱도에서 제사를 지내고 왔다”며 강제 징용을 떠난 후 돌아오지 못한 아버지의 행적을 찾아 나섰던 경험을 증언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종호 의원과 오광영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했고, 평화나비대전행동과 한국노총대전본부, 민주노총대전본부가 주관했다. 토론회의 좌장은 대전광역시의회 오광원 의원이 맡았다.

평화나비대전행동과 한국노총대전본부, 민주노총대전본부는 지난 4월 10일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선포했으며, 시민들의 모금을 통해 8월 13일에 대전 평화의 소녀상 옆에 건립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